경제용어사전

앤티프래절

[Antifragile]

베스트 셀러 《블랙 스완》의 작가 나심 탈레브가 2012년 내놓은 책의 제목. ‘충격을 받으면 깨지기 쉬운’, ‘취약한’이라는 뜻의 프래절(fragile)에다 ‘반대’라는 의미의 접두어 앤티(anti)를 붙여 새롭게 만든 용어다. 보통 ‘프래절’의 반대말은 ‘강건한(robust)’이나 ‘탄력적인(resilient)’을 쓴다. 그런데 탈레브는 ‘충격을 받으면 깨지는’의 반대말은 ‘충격을 받으면 더 단단해지는’이어야 한다는 의미로 앤티프래절이라는 용어를 지어냈다.

탈레브는 ‘앤티프래절’의 대표적인 예로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머리가 여럿 달린 뱀인 히드라를 들었다. 히드라는 머리 하나를 자르면 그 자리에서 머리 두 개가 나오면서 더 강해지는 뱀이다. 그것처럼 기업은 문제가 터졌을 때 살아남는 수준이 아니라, 그 문제 상황에서 이득을 보고 더 강해져야 한다는 논리다.

  • 유형자산비율[fixed assets ratio]

    유형자산비율은 총자산 중에서 유형자산이 차지하는 비율로 표시된다. 유형자산의 대표적 예로 ...

  • 임금의 하방경직성[downward rigidity]

    한 번 올라간 임금이 다시 떨어지지 않는 속성을 말한다. 임금은 기본적으로 노동의 수요와 ...

  • 온실가스 배출부채

    기업이 탄소배출 할당량을 초과해 탄소를 배출하는 기업은 시장에서 탄소배출권을 구매해야 하는...

  • 아바타[Avatar]

    가상공간에서의 삶 즉 세컨드 라이프와 같은 가상현실 사이트들에서 나를 대변하는 분신으로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