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앤티프래절

[Antifragile]

베스트 셀러 《블랙 스완》의 작가 나심 탈레브가 2012년 내놓은 책의 제목. ‘충격을 받으면 깨지기 쉬운’, ‘취약한’이라는 뜻의 프래절(fragile)에다 ‘반대’라는 의미의 접두어 앤티(anti)를 붙여 새롭게 만든 용어다. 보통 ‘프래절’의 반대말은 ‘강건한(robust)’이나 ‘탄력적인(resilient)’을 쓴다. 그런데 탈레브는 ‘충격을 받으면 깨지는’의 반대말은 ‘충격을 받으면 더 단단해지는’이어야 한다는 의미로 앤티프래절이라는 용어를 지어냈다.

탈레브는 ‘앤티프래절’의 대표적인 예로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머리가 여럿 달린 뱀인 히드라를 들었다. 히드라는 머리 하나를 자르면 그 자리에서 머리 두 개가 나오면서 더 강해지는 뱀이다. 그것처럼 기업은 문제가 터졌을 때 살아남는 수준이 아니라, 그 문제 상황에서 이득을 보고 더 강해져야 한다는 논리다.

  • 영구적 위기[perma-crisis]

    ‘permanent’(영구적인)와 ‘crisis’(위기)의 합성어로 2022년 영국의 대표...

  • 에코플레이션[eco-flation]

    ''환경(Ecology)''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로 기후변화와 ...

  • 언더워터[underwater]

    "손실상태의"라는 영어단어에서 유래한 말로 집값보다 대출금이 더 많은 상태에 있음을 이르는...

  • 아폴로 신드롬

    뛰어난 인재들이 모인 집단에서 오히려 성과가 낮은 현상을 일컫는 용어다. 영국의 경영학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