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공유지의 비극, 공유자원의 비극

[The Tragedy of the Commons]

공유지와 같은 공유자원은 소유권이 설정돼 있지 않기 때문에 과다하게 사용돼 고갈된다는 내용이다. 예를 들어 초원이 공유지라면, 양이나 소를 키우는 사람들이 자신들의 가축이 그 초원의 풀을 마구잡이로 뜯어먹게 해 초원이 폐허로 변할 우려가 크다. 세금의 경우 공공적 성격 때문에 펑펑 낭비하게 됨으로써 공동 소유의 목장이 순식간에 황폐화되는 공유지의 비극같은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공유자원의 비극은 소유권을 명확히 하거나 세금을 부과하는 등의 방법으로 막을 수 있다

미국의 미생물학자 G. Hardin이 1968년 사이언스지에 “The Tragedy of the Commons”라는 논문을 발표했고, 여기서 `공유지의 비극'이란 단어가 시작되었다고 한다.

  • 고시금리

    은행의 예금금리는 크게 고시금리, 전결금리, 본부승인금리 등의 세가지로 구분된다. 이중 고...

  • 간판방식[Toyota production system, TPS]

    일본 도요타 자동차가 재고를 줄이기 위해 개발한 생산 관리 방식이다. 수요와 공급의 불확실...

  • 근거리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가까운 거리에 있는 각종 정보처리기들을 연결, 빠른 속도의 정보교환을 가능케 하는 통신망이...

  • 기술우대보증

    기술신용보증기금이 기술력이 우수하다고 인정되는 기업 또는 각종 기술개발 관련 자금 등을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