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공유지의 비극, 공유자원의 비극

[The Tragedy of the Commons]

공유지와 같은 공유자원은 소유권이 설정돼 있지 않기 때문에 과다하게 사용돼 고갈된다는 내용이다. 예를 들어 초원이 공유지라면, 양이나 소를 키우는 사람들이 자신들의 가축이 그 초원의 풀을 마구잡이로 뜯어먹게 해 초원이 폐허로 변할 우려가 크다. 세금의 경우 공공적 성격 때문에 펑펑 낭비하게 됨으로써 공동 소유의 목장이 순식간에 황폐화되는 공유지의 비극같은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공유자원의 비극은 소유권을 명확히 하거나 세금을 부과하는 등의 방법으로 막을 수 있다

미국의 미생물학자 G. Hardin이 1968년 사이언스지에 “The Tragedy of the Commons”라는 논문을 발표했고, 여기서 `공유지의 비극'이란 단어가 시작되었다고 한다.

  • 그린 컨슈머[Green Consumer]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과 책임감을 가지고 소비행위를 통해 환경보전을 추구하려는 생각을 가진 ...

  • 김치 코인

    한국에서 발행된 가상화폐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버거코인과 구분하여 사용된다. 김치코인...

  • 그린피스[green peace]

    국제적인 핵실험 반대와 자연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단체. 남태평양에서 있은 프랑스의 핵실험에...

  • 간호 등급가산제

    병원의 간호서비스 수준을 높이기 위해 간호사 추가 고용에 따른 인건비 증가분을 수가에서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