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애프터 쇼크

[After Shock]

2006년 로버트·데이비드 위더머 형제와 신디 스피처는 공동 출간한 ''미국의 버블경제''라는 책에서 미국 경제가 부동산·주식·민간부채·소비지출·달러·정부부채라는 6개의 버블 기둥으로 불안하게 떠받쳐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 중 부동산, 주식, 민간부채, 소비지출에 낀 버블기둥은 리먼 사태를 계기로 붕괴됐고, 나머지 두 개 기둥인 달러와 정부 부채에 낀 버블은 2011년에 터진다고 예상했다.

이 때문에 현재 미국 경기와 주가는 정부와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푼 유동성에 의해 떠받쳐지고 있지만 2011년에는 위기 이후 또 다른 충격인 애프터 쇼크가 찾아와 이마저도 무너진다는 것이다. 애프터 쇼크는 위기극복 과정에서 3년이 지나면 위기가 다시 찾아온다는 ''3년 주기설''과 맥을 같이한다.

위기극복 3단계 이론에 따라 첫 단계인 유동성 부족은 ''빅 스텝'' 금리인하와 양적완화 정책으로 해결될 수 있지만 위기를 낳게 한 근본적인 시스템이 해결되지 않으면 위기 발생 3년차에 다시 위기가 찾아온다는 것이 3년 주기설의 골자다.

  • 애플 페이[Apple Pay]

    미국 애플(Apple Inc.)사가 2014년 10월부터 시작한 모바일 결제서비스. 애플사...

  • 에듀버블[edu-bubble]

    강인수 현대경제연구원 원장이 만든 합성어로 2017 세계경제대전망》에서 처음 사용됐다. ...

  • 에일맥주[Ale]

    맥주 통 위쪽에서 효모를 발효시키는 상면(上面) 발효 방식의 맥주다. 하면 발효 방식의 라...

  • 워크아웃[Work-out]

    워크아웃은 경영난으로 파산 위기에 처한 기업에 대해 채권단(금융회사) 주도로 시행하는 회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