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프터 쇼크
[After Shock]2006년 로버트·데이비드 위더머 형제와 신디 스피처는 공동 출간한 ''미국의 버블경제''라는 책에서 미국 경제가 부동산·주식·민간부채·소비지출·달러·정부부채라는 6개의 버블 기둥으로 불안하게 떠받쳐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 중 부동산, 주식, 민간부채, 소비지출에 낀 버블기둥은 리먼 사태를 계기로 붕괴됐고, 나머지 두 개 기둥인 달러와 정부 부채에 낀 버블은 2011년에 터진다고 예상했다.
이 때문에 현재 미국 경기와 주가는 정부와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푼 유동성에 의해 떠받쳐지고 있지만 2011년에는 위기 이후 또 다른 충격인 애프터 쇼크가 찾아와 이마저도 무너진다는 것이다. 애프터 쇼크는 위기극복 과정에서 3년이 지나면 위기가 다시 찾아온다는 ''3년 주기설''과 맥을 같이한다.
위기극복 3단계 이론에 따라 첫 단계인 유동성 부족은 ''빅 스텝'' 금리인하와 양적완화 정책으로 해결될 수 있지만 위기를 낳게 한 근본적인 시스템이 해결되지 않으면 위기 발생 3년차에 다시 위기가 찾아온다는 것이 3년 주기설의 골자다.
-
이중환율체제[double exchange rate system]
이중환율제는 금융거래에 적용되는 환율과 상업거래에 적용되는 환율을 별도로 정하는 것으로 대...
-
인생주기[life cycle]
출생시부터 사망시까지 사람의 표준적인 가정생활을 살펴보면 ‘출생 → 성장 → 결혼 → 육아...
-
영업용 순자본 비율
자금의 조달 및 운용에 있어 증권사들이 어느 정도 재무건전성을 확보하고 있는가를 비교 평가...
-
역 시너지[reverse synergy]
시너지는 부분이 합쳐져 그 가치가 더욱 상승되는, 즉 2+2=7이 되는 현상으로 M&A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