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프터 쇼크
[After Shock]2006년 로버트·데이비드 위더머 형제와 신디 스피처는 공동 출간한 ''미국의 버블경제''라는 책에서 미국 경제가 부동산·주식·민간부채·소비지출·달러·정부부채라는 6개의 버블 기둥으로 불안하게 떠받쳐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 중 부동산, 주식, 민간부채, 소비지출에 낀 버블기둥은 리먼 사태를 계기로 붕괴됐고, 나머지 두 개 기둥인 달러와 정부 부채에 낀 버블은 2011년에 터진다고 예상했다.
이 때문에 현재 미국 경기와 주가는 정부와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푼 유동성에 의해 떠받쳐지고 있지만 2011년에는 위기 이후 또 다른 충격인 애프터 쇼크가 찾아와 이마저도 무너진다는 것이다. 애프터 쇼크는 위기극복 과정에서 3년이 지나면 위기가 다시 찾아온다는 ''3년 주기설''과 맥을 같이한다.
위기극복 3단계 이론에 따라 첫 단계인 유동성 부족은 ''빅 스텝'' 금리인하와 양적완화 정책으로 해결될 수 있지만 위기를 낳게 한 근본적인 시스템이 해결되지 않으면 위기 발생 3년차에 다시 위기가 찾아온다는 것이 3년 주기설의 골자다.
-
위성간 통신 기술[inter satellite links, ISL]
저궤도 위성을 활용한 통신 서비스를 구현하는 필수 기술. 위성 간 데이터를 ‘레이저’로 주...
-
에너지스타[Energy Star]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하기 위해 에너지 효율이 높은 전기, 전자제품의 고효율성을 인증하는 프...
-
위구르법 2019[the Uygur Intervention and Global Humanitarian Unified Response Act of 2019]
2019년 9월 미국 상원을 9월 상원을 통과한 위구르법을 강화한 것으로 중국 신장위구르자...
-
이안류[離岸流, rip current]
해안으로 밀려오다가 갑자기 빠르게 되돌아가는 해류로, 폭이 좁고 빨라 안전사고의 원인이 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