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영업용 순자본 비율

 

자금의 조달 및 운용에 있어 증권사들이 어느 정도 재무건전성을 확보하고 있는가를 비교 평가하기 위해 최근에 도입된 지표이다. 은행에 대한 "BIS 자기자본비율"과 유사한 성격의 지표라고 할 수 있다. 증권사들의 자금조달구조를 보면 만기 1년 이내인 고객예수금, 단기차입금, 콜머니 등과 같은 유동부채의 비중이 높은 점을 감안할 때 가급적 위험성이 낮고 유동성 측면에서 여유가 있도록 자산운용을 해야 만일의 유동성 위기에 대비할 수 있게 된다.

이 비율은 자기자본에서 고정자산을 뺀 금액(영업용 순자본)을 총위험액(시장위험액+기초위험액)으로 나눈 것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100×영업용 순자본/총위험액)이다. 영업용 순자본은 증권사가 보유한 자산 중 신속하게 현금화 할 수 있는 자산을 말하며, 현재 이 비율이 150% 이상이면 정상적인 증권사로 간주되고 150% 이하인 증권사는 금융감독위원회로부터 경영개선 권고 등 시정조치를 명령받게 되어 있다.

  • 운전자보험

    운전자보험은 교통사고에 따른 벌금이나 형사합의금(교통사고처리지원금), 변호사 선임비 등을 ...

  • 예정사업비

    보험사의 사업을 위해 보험료에서 일정 부분 미리 공제하는 비용, 즉 가입자에게 부담시키는 ...

  • 연방기금금리[Federal Fund rate, FFR]

    미국 은행간 자금거래에 적용되는 대표적인 단기금리로서 우리나라의 콜금리에 해당된다. 미국 ...

  • 액체생검[Liquid biopsies]

    피 한 방울로 암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기술. 수술이나 시술을 통해 샘플을 획득해야 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