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용 순자본 비율
자금의 조달 및 운용에 있어 증권사들이 어느 정도 재무건전성을 확보하고 있는가를 비교 평가하기 위해 최근에 도입된 지표이다. 은행에 대한 "BIS 자기자본비율"과 유사한 성격의 지표라고 할 수 있다. 증권사들의 자금조달구조를 보면 만기 1년 이내인 고객예수금, 단기차입금, 콜머니 등과 같은 유동부채의 비중이 높은 점을 감안할 때 가급적 위험성이 낮고 유동성 측면에서 여유가 있도록 자산운용을 해야 만일의 유동성 위기에 대비할 수 있게 된다.
이 비율은 자기자본에서 고정자산을 뺀 금액(영업용 순자본)을 총위험액(시장위험액+기초위험액)으로 나눈 것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100×영업용 순자본/총위험액)이다. 영업용 순자본은 증권사가 보유한 자산 중 신속하게 현금화 할 수 있는 자산을 말하며, 현재 이 비율이 150% 이상이면 정상적인 증권사로 간주되고 150% 이하인 증권사는 금융감독위원회로부터 경영개선 권고 등 시정조치를 명령받게 되어 있다.
-
이차적 불매운동[secondary boycott]
주요 고용인과 간접적으로 관계된 제품·물건·서비스 등의 사용(구매) 및 수송을 하지 못하게...
-
우리 세대[Generation We]
기술혁신을 지향하며 현실에 대한 비판과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긍정적인 미래를 이루어낼 수 ...
-
액셀러레이터 조건부지분인수계약 투자
액셀러레이터에게 조건부지분인수계약(SAFE)을 허용하는 투자방식. 조건부지분인수계약은 실리...
-
유해물질 제한지침[Restriction of Hazardous Substances, ROHS]
EU에서 전기전자제품 폐기물의 처분과 재활용 과정에서 재활용성을 저해하거나 환경오염 문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