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생결합펀드
[derivative linked fund, DLF]금리, 원자재 환율 등의 가격과 연결돼 투자 수익이 결정되는 파생결합증권(DLS)여럿을 묶어 펀드 형태로 판매한 것을 말한다.
DLF는 사전에 정한 방식으로 수익을 결정한다. 자산의 가치 변동에 따라 일정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됐다. 펀드 매니저의 운용 결과에 따라 수익이 결정되는 일반 펀드와 방식이 다르다. 내가 투자한 자산의 가격이 유지되면, 계약할 때 약속했던 수익을 보장받는 식이다.
투자한 기초자산의 가격이 일정 수준 이상 떨어지면 원금손실 구간에 진입하게 되는데 이를 녹인(Knock-in)이라고 한다.
녹인에 진입하면 원금 손실이 발생하고 경우에 따라 원금을 모두 잃을 수도 있다.
2019년 10월 화제가 된 것이 독일 국채 금리에 투자한 해외금리연계 DLF로 국채 금리가 일정 수준으로만 유지되면 수익이 생기고 혹시라도 떨어지면 큰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상품이었다.
하지만 원금 전액을 날릴 수 있는 수준까지 독일의 국채 금리가 하락하면서 문제가 됐습니다. 여기서 더 큰 문제는 은행에서 상품에 대한 적절한 소개가 없었다는 겁니다. 안전한 상품이라는 추천, 심지어 투자 성향도 맘대로 조절해 상품을 가입시켰습니다.
관련어
- 참조어파생결합증권
-
포트리스 폰[portless phone]
충전 케이블, 이어폰 꽂는 곳이 없는 폰을 뜻한다. 무선으로 충전하며 에어팟 같은...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 PET]
e 플라스틱의 한 종류. 내열성, 강성, 전기적 성질 등이 뛰어나고, 높은 온도에 오랫동안...
-
편입비율
편입비율은 일정 투자대상에 전체 신탁재산의 몇%를 투자하는가를 나타내는 수치. 예를 들어 ...
-
페놀[phenol]
백색결정의 유기화합물로 향긋한 냄새를 풍긴다. 인쇄회로기판 제조공정이나 수지, 합성섬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