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피용자보수

 

한 나라의 경제가 1년 동안 생산한 재화와 용역은 소득이라는 형태로 국민경제 각 구성요소에 분배된다. 이같은 소득은 일차적으로 생산과정에 직접 참여한 각 경제주체, 즉 노동제공자와 자본경영의 제공자에게 분배된다. 또 정부는 이 소득 중 일부를 부가가치세와 같은 간접세를 통해 거두어들이게 된다. 이처럼 경제주체에 배분되는 소득 중 노동제공자에게 제공되는 부분을 피용자보수라고 부른다. 다시 말해 남에게 고용되어서 생산에 참여한 사람들이 노동을 제공한 대가로 받는 임금 등을 가리킨다. 이에 반해 자본과 경영을 제공해 생산활동을 주관한 경제주체에 돌아가는 몫은 영업잉여라고 부른다. 피용자보수는 국민총가처분소득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보통이며 규모와 증가율은 취업률이나 임금상승률 등의 영향을 받는다.

  • 포지셔닝[positioning]

    특정 포지션에 자기 회사 제품을 의도적으로 집어넣는 전략적 움직임을 말한다. 1972년 마...

  • 편차지수[deviation index]

    업종별 동향을 파악하는 지표인 "편차지수(deviation index)"의 유용성이 높아지...

  • 플라즈몬[plasmon]

    금속 내부의 전자들이 동시에 진동하는 물질을 말한다. 플라즈몬이 금속 표면에 국부적으로 존...

  • 판매보수

    자산운용회사에서 개발한 펀드를 판매하는 은행, 증권, 보험, 자산운용사 등의 금융회사들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