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피용자보수

 

한 나라의 경제가 1년 동안 생산한 재화와 용역은 소득이라는 형태로 국민경제 각 구성요소에 분배된다. 이같은 소득은 일차적으로 생산과정에 직접 참여한 각 경제주체, 즉 노동제공자와 자본경영의 제공자에게 분배된다. 또 정부는 이 소득 중 일부를 부가가치세와 같은 간접세를 통해 거두어들이게 된다. 이처럼 경제주체에 배분되는 소득 중 노동제공자에게 제공되는 부분을 피용자보수라고 부른다. 다시 말해 남에게 고용되어서 생산에 참여한 사람들이 노동을 제공한 대가로 받는 임금 등을 가리킨다. 이에 반해 자본과 경영을 제공해 생산활동을 주관한 경제주체에 돌아가는 몫은 영업잉여라고 부른다. 피용자보수는 국민총가처분소득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보통이며 규모와 증가율은 취업률이나 임금상승률 등의 영향을 받는다.

  • 폴리시믹스[Policy Mix]

    거시경제 정책의 세가지 요소인 재정·통화·환율을 동시에 관리하는 정책수단으로 특정 지표에 ...

  • 폰 노이만 병목[von Neumann Bottleneck]

    프로세서(CPU)와 HDD나 SSD같은 메모리간에 주고받는 데이터 양이 폭증하면서 둘 사이...

  • 포괄적 주식교환

    비상장기업 주주들이 상장기업에 지분을 모두 넘겨주고 그 대가로 상장기업의 신주를 받는 것....

  • 페이퍼 컴퍼니[paper company]

    서류 형태로만 존재하면서 회사기능을 수행하는 회사를 가리킨다. 주로 사업활동에서 나오는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