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분양권 전매제도

 

청약통장을 가지고 분양권을 얻은 사람이 입주 전에 입주할 권리를 다른 사람에게 파는 것을 말한다. 부득이 분양권 전매가 필요한 사람들도 있으나 한참 부동산 투기 열풍이 불 당시, 분양권 전매제도를 투기의 수단으로 악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부동산 시장의 안정을 위해 분양권 전매제한이라는 규제를 만들어 투기과열지구의 부동산 전매를 금지했다. 또한 분양권 전매제도는 분양절차에 따라 청약, 당첨된 경우에만 적용되기 때문에 미분양 아파트는 분양권 전매 제도에 해당되지 않는다.

  • 부동주[floating stock]

    단기시세차익을 노리는 투자자들의 매매거래 때문에 매매유통되는횟수가 빈번한 주식을 말한다. ...

  • 버블세븐

    정부가 아파트 값에 거품이 끼어 가격붕괴가 시작될 것이라고 예상한 7개 지역. 서울 강남·...

  • 방콕협정

    정부가 미국의 수입규제 공세에 대응,방콕협정을 확대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방콕...

  • 보험중개업체

    기업과 보험사 또는 보험사와 재보험사를 연결해주고 수수료를 받는 회사. 영국 등 보험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