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분양권 전매제도

 

청약통장을 가지고 분양권을 얻은 사람이 입주 전에 입주할 권리를 다른 사람에게 파는 것을 말한다. 부득이 분양권 전매가 필요한 사람들도 있으나 한참 부동산 투기 열풍이 불 당시, 분양권 전매제도를 투기의 수단으로 악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부동산 시장의 안정을 위해 분양권 전매제한이라는 규제를 만들어 투기과열지구의 부동산 전매를 금지했다. 또한 분양권 전매제도는 분양절차에 따라 청약, 당첨된 경우에만 적용되기 때문에 미분양 아파트는 분양권 전매 제도에 해당되지 않는다.

  • 보증연계투자

    기술성과 사업성이 우수한 혁신형 중소기업에 보증과 연계하여 직접투자하는 복합상품. 중소기업...

  • 밸류 컨슈머[Value Consumer]

    감성과 가격을 모두 중시하는 소비자로 이들은 최고의 제품을 합리적 가격에 구매하고자 한다....

  • 바오류[保六]

    중국이 6% 성장을 지속하는 것을 일컫는 말. 1990년까지 3%대 수준이던 중국의...

  • 박스권

    일정 기간 주가가 최고고점과 최저저점을 벗어나지 않는 상태에서 등락을 반복할 때 박스권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