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부도

 

현행 어음교환소 규약은 부도난 어음·수표에 대해 다음 영업일까지 결제하면 당좌거래를 폐쇄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즉 교환제시된 어음을 당일 막지 못하면 1차부도상태가 되지만 그 다음날 결제하면 최종부도는 면하게 된다. 그렇다고 1차부도를 무한정 낼수는 없다. 어음교환소 규약은 1년 동안 이같은 1차부도를 4번 내게 되면 4번째는 자동으로 당좌거래가 정지될 수 있도록 해놓고 있다. 최종부도를 내게 되는 셈이다. 엄밀한 의미에서 본다면 어음과 관련한 당일 은행영업시간인 2시 30분까지 막지 못하면 1차부도를 낸 것이지만 은행들은 ‘연장’이란 방식을 활용, 어음발행인에게 결제자금 마련기회를 더 준다. 경우에 따라서는 밤 12시까지도 연장해주는데, 이는 아주 예외적인 상황이다.

  • 배출권사업

    기업들이 투자나 기술협력 등을 통해 개발도상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여주고 그만큼의 이산화...

  • 바그너그룹[Wagner Group]

    바그너 그룹은 러시아 기업가인 예브게니 프리고진과 스페츠나츠 지휘관 출신인 드미트리 우트킨...

  • 변동성지수[volatility index, VIX]

    시카고선물옵션거래소(CBOE)에서 거래되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가 향후 3...

  • 방문판매[house to house selling]

    가정에 있는 예비고객을 방문하여 직접 판매하는 방식.방문판매는 판매자에게 낮은 비용과 무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