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베이시스

[basis]

선물가격(futures price)과 현물가격(spot price)의 차이를 말한다. 정상적인 시장에서는 현물가격이 선물가격보다 낮게 형성되므로 베이시스는 양(+)의 값을 갖게 된다. 선물가격은 선물의 인수도현물상품보다 늦게 이루어지므로 그기간 동안의 보관료, 보험료, 투자금액에 대한 이자 등이 반영되어 현물가격보다 높은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일시적인 공급물량부족 등으로 인해 수급불균형이 초래되어 현물가격이 선물가격보다 오히려 높게 형성되는 현상이 발생할 때도 있다. 그리고 동종상품에 대한 근월물 또는 원월물 간의 가격차이를 베이시스로 나타내기도 한다.

베이시스 이론 수치와 실제 수치간의 괴리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프로그램 차익거래가 이루어진다. 베이시스는 주식시장에서도 선물과 현물(주식) 간 가격차를 가리킨다. 미래가치를 나타내는 선물 가격은 이론상 현물 가격보다 높은 게 정상이다. 이렇게 베이시스가 양(+)인 상태를 ''콘탱고''라 부른다. 반대로 선물이 현물보다 낮아 베이시스가 음(-)인 상태는 ''백워데이션''이라고 한다. 백워데이션은 통상 투자자들이 조정 가능성을 높게 본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 복세편살

    `복잡한 세상 편하게 살자’의 준말. 큰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전전긍긍하는 삶이 아니라 내...

  • 버그[bug]

    컴퓨터 프로그램상의 결함으로 오류나 오작동이 일어나는 현상. 프로그램 명령어가 잘못돼 있다...

  • 부양가족연금

    부양가족연금(가족연금)은 국민연금 수급자가 부양하는 가족이 있는 경우, 기본연금액 외에 추...

  • 보안토큰[Hardware Security Module, HSM]

    내부에 CPU와 메모리 등이 장착하고 있어 외부 위협으로부터 공인인증서(개인키 포함)를 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