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베이시스

[basis]

선물가격(futures price)과 현물가격(spot price)의 차이를 말한다. 정상적인 시장에서는 현물가격이 선물가격보다 낮게 형성되므로 베이시스는 양(+)의 값을 갖게 된다. 선물가격은 선물의 인수도현물상품보다 늦게 이루어지므로 그기간 동안의 보관료, 보험료, 투자금액에 대한 이자 등이 반영되어 현물가격보다 높은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일시적인 공급물량부족 등으로 인해 수급불균형이 초래되어 현물가격이 선물가격보다 오히려 높게 형성되는 현상이 발생할 때도 있다. 그리고 동종상품에 대한 근월물 또는 원월물 간의 가격차이를 베이시스로 나타내기도 한다.

베이시스 이론 수치와 실제 수치간의 괴리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프로그램 차익거래가 이루어진다. 베이시스는 주식시장에서도 선물과 현물(주식) 간 가격차를 가리킨다. 미래가치를 나타내는 선물 가격은 이론상 현물 가격보다 높은 게 정상이다. 이렇게 베이시스가 양(+)인 상태를 ''콘탱고''라 부른다. 반대로 선물이 현물보다 낮아 베이시스가 음(-)인 상태는 ''백워데이션''이라고 한다. 백워데이션은 통상 투자자들이 조정 가능성을 높게 본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 바오바[保八]

    중국의 8% 성장률 유지정책. 중국은 2005년부터 2011년까지 전국인민대표대회 업무보고...

  • 비만세

    살을 찌게 만드는 지방, 당분등을 사용하는 식품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 비만이 개인 건강을...

  • 병목 인플레이션[bottleneck inflation]

    생산요소(노동력·토지·자본)의 부족으로 공급이 주는 현상(bottleneck)으로 인해 발...

  • 비대면 의료

    전화나 영상으로 상담·처방 받는 것으로 큰 맥락에서는 원격의료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