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베이시스

[basis]

선물가격(futures price)과 현물가격(spot price)의 차이를 말한다. 정상적인 시장에서는 현물가격이 선물가격보다 낮게 형성되므로 베이시스는 양(+)의 값을 갖게 된다. 선물가격은 선물의 인수도현물상품보다 늦게 이루어지므로 그기간 동안의 보관료, 보험료, 투자금액에 대한 이자 등이 반영되어 현물가격보다 높은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일시적인 공급물량부족 등으로 인해 수급불균형이 초래되어 현물가격이 선물가격보다 오히려 높게 형성되는 현상이 발생할 때도 있다. 그리고 동종상품에 대한 근월물 또는 원월물 간의 가격차이를 베이시스로 나타내기도 한다.

베이시스 이론 수치와 실제 수치간의 괴리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프로그램 차익거래가 이루어진다. 베이시스는 주식시장에서도 선물과 현물(주식) 간 가격차를 가리킨다. 미래가치를 나타내는 선물 가격은 이론상 현물 가격보다 높은 게 정상이다. 이렇게 베이시스가 양(+)인 상태를 ''콘탱고''라 부른다. 반대로 선물이 현물보다 낮아 베이시스가 음(-)인 상태는 ''백워데이션''이라고 한다. 백워데이션은 통상 투자자들이 조정 가능성을 높게 본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 보장보험료

    보험계약에 따른 보장을 받기 위해 보험계약자가 보험회사에 납입하는 보험료

  • 변동금리 저당대출[adjustable rate mortgage, ARM]

    국채 수익률과 연동돼 금리 변경이 가능한 미국의 주택담보 대출. 대출후 첫 2-3년간은 낮...

  • 버냉키 랠리

    버냉키 FRB 의장이 금리 인상 중단을 시사하면 주가가 급등하는 현상을 일컫는 말. 반대로...

  • 비자면제프로그램[Visa Waiver Program, VWP]

    미국정부가 지정한 국가의 국민에게 최대 90일간 비자없이 관광 및 상용목적에 한해 미국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