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변동비와 고정비

[variable cost, fixed cost]

조업도(생산설비의 이용도)에 따라서 변동하는 비용을 말한다. 예를 들어 재화의 생산량이 늘어나면 증가하는 형태를 띠는 비용이다. 상품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재료비나 부품비, 연료비, 잔업수당, 판매원 수수료 등은 변동비로 볼 수 있다. 반면 조업도의 변화와 관계없이 일정한 원가를 고정비(fixed cost)라고 한다. 생산량이 늘어나거나 줄어들어도 변동이 없는 비용이다. 고정비에는 급료, 지대(地代), 감가상각비, 이자, 보험료, 전기·수도·전화 요금 등이 포함된다. 기업이 생산활동을 지속하려면 최소한 변동비 이상의 매출을 올려야 한다. 변동비 이상을 팔아야 문을 닫는 것보다는 이익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장기적으론 변동비와 고정비를 합친 비용 이상 매출이 돼야 회사를 정상 유지할 수 있다.

  • 병목 인플레이션[bottleneck inflation]

    생산요소(노동력·토지·자본)의 부족으로 공급이 주는 현상(bottleneck)으로 인해 발...

  • 블랙 프라이데이[Black Friday]

    미국의 추수감사절(11월 마지막 주 목요일) 다음 날을 뜻한다. 미국 대다수 소매업체가 이...

  • 바이오 리파이너리[Bio-refinery]

    식물자원인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화학제품과 바이오연료 등을 생산하는 기술을 말한다. 태양에너...

  • 백본망[backbone network]

    저속의 여러 하위 망들을 서로 연결하거나 분산된 통신장치들을 통합하기 위한 최상위 통신 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