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변동비와 고정비

[variable cost, fixed cost]

조업도(생산설비의 이용도)에 따라서 변동하는 비용을 말한다. 예를 들어 재화의 생산량이 늘어나면 증가하는 형태를 띠는 비용이다. 상품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재료비나 부품비, 연료비, 잔업수당, 판매원 수수료 등은 변동비로 볼 수 있다. 반면 조업도의 변화와 관계없이 일정한 원가를 고정비(fixed cost)라고 한다. 생산량이 늘어나거나 줄어들어도 변동이 없는 비용이다. 고정비에는 급료, 지대(地代), 감가상각비, 이자, 보험료, 전기·수도·전화 요금 등이 포함된다. 기업이 생산활동을 지속하려면 최소한 변동비 이상의 매출을 올려야 한다. 변동비 이상을 팔아야 문을 닫는 것보다는 이익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장기적으론 변동비와 고정비를 합친 비용 이상 매출이 돼야 회사를 정상 유지할 수 있다.

  • 박막 2차전지[thin film battery]

    반도체 공정기술인 진공증착 방식으로 얇은 기판 위에 양극재, 고체 전해질, 음극재를 차례대...

  • 빚의 함정[debt trap]

    경제 주체들이 과도한 부채에 시달려 소비나 투자를 하지 못하는 현상을 말한다.

  • 바이오 의약품[biomedicine]

    새로운 생물공학방식으로 사람이나 다른 생물체에서 유래된 것(단백질)을 원료 또는 재료로 해...

  • 변침[變針, veering]

    여객선이나 항공기 운항 등이 항로를 변경하는 것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