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소멸시효

 

일정기간 권리를 행사하지 않을 경우 그 권리가 소멸되는 것을 말한다. 제척기간과 유사하지만 소멸시효는 중단 사유가 있으면 중단되지만 제척기간은 중단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리고 소멸시효는 이해 당사자가 재판에서 이를 주장해야만 하지만 제척기간은 누가 주장하지 않아도 당연히 진행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일반채권의 소멸시효는 10년, 상사채권과 공법상의 채권은 5년이며 기타 재산권은 20년의 소멸시효를 가진다.

  • 시멘트[cement]

    석회석과 제철 부산물 등을 유연탄으로 구워 만드는 시멘트는 1960년대 제1차 경제개발계획...

  • 수소에너지[hydrogen energy]

    수소를 이용하여 각종 연료나 원료에 사용하는 거의 무한대의 에너지원. 석탄 석유등의...

  • 스윙계좌[Swing account]

    예금 잔액이 일정 기준을 초과하면 자동으로 더 높은 금리를 주는 계좌로 옮겨주는 상품.연 ...

  • 수요망관리[Demand Chain Management]

    요즘 기업들은 고객관리 방안의 하나로 "수요망관리"에 초점을 두고 있다. 수요망관리란 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