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소멸시효

 

일정기간 권리를 행사하지 않을 경우 그 권리가 소멸되는 것을 말한다. 제척기간과 유사하지만 소멸시효는 중단 사유가 있으면 중단되지만 제척기간은 중단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리고 소멸시효는 이해 당사자가 재판에서 이를 주장해야만 하지만 제척기간은 누가 주장하지 않아도 당연히 진행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일반채권의 소멸시효는 10년, 상사채권과 공법상의 채권은 5년이며 기타 재산권은 20년의 소멸시효를 가진다.

  • 스티븐 로치[Stephen S. Roach]

    미국의 경제석학으로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 교수와 함께 월가의 대표적인 비관론자로 꼽힌다. ...

  • 수소연료전지 스택[stack]

    수소와 공기 중 산소를 결합하는 전기 화학반응을 통해 직류 전기를 만드는 자동차의 엔진과 ...

  • 소상공인 희망회복자금

    정부가 2020년 8월 16일부터 2021년 6월 30일까지 피해를 본 소상공 업주 113...

  • 시리[SIri]

    애플이 2011년 세계최초로 선보인 인공지능 (AI)음성인식 비서. AI비서의 원조로 꼽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