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수출신용장

[export credit]

수입업자의 신용을 보증하기 위해 은행이 발행하는 증서를 수입신용장이라고 한다. 이를 수출선인 상대국에서 받을 경우 수출신용장이라고 한다. 국내수출업체와 외국수입업자 간에 맺어진 거래 계약에 대한 일종의 대금결제보증서다. 신용장을 발행한 은행으로부터 지불금융기관으로 지정된 은행(보통 수출업자가 있는 나라의 거래은행)은 신용장에 명기돼 수출입 계약에 관련된 서류와 상환하여 수출업자에게 대금을 지불한다. 수출입공고 관리무역주의에 입각, 무역관리 차원에서 한국에서 시행되었거나 시행중인 ‘수출입공고’는 무역거래법에 의해 정부가 물품의 수출입을 품목별로 직접 규제 관리하기위해 수출입에 관한 승인품목, 허가품목, 금지품목 등의 구분 및 물품의 종류별 수량과 금액의 한도에 관해 실시 30일 전에 공고할 수 있는 제도다.

  • 실업률[unemployment rate]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국민 중에서 일자리가 없는 사람들이차지하는 비중을 말한다. 구체적으...

  • 상속세법 개정안

    최대 주주가 상속할 경우 적용되는 30%의 주식 할증률을 인하하는 것을 골자로하는 상속세법...

  • 상속·증여세 완전포괄주의

    별도의 면세규정이 없는 한 모든 상속 및 증여 행위에 대해 세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하는 ...

  • 실효금리[effective interest rate, real rate of interest]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릴 때 강제요금(구속성예금)을 요구당했을 경우 차입하는 측이 실질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