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승수효과

[multiplier effect]

정부 지출을 늘릴 경우 지출한 금액보다 많은 수요가 창출되는 현상을 말한다. 예를 들어 정부가 한 기업으로부터 1억원어치의 재화를 구입하면 해당 기업의 고용과 이윤이 늘어나고, 그 기업 근로자들의 소득과 주주들의 이윤이 증가해 이들의 소비가 커진다. 이러한 소비 증가로 다른 기업들이 생산하는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수요도 커진다. 이런 과정을 통해 정부가 처음 지출한 금액보다 많은 수요를 창출하기 때문에 이를 승수효과라고 부른다.

정부 지출로 근로자들의 소득이 증가할 때 소비가 크게 반응해 늘어나야 총수요에 미치는 승수효과가 커진다. 이와 반대로 정부가 지출을 늘려도 총수요가 늘어나지 않는 현상을 구축효과라고한다.

  • 상장지수펀드[Exchange-traded fund, ETF]

    KOSPI200이나 특정 자산을 추종하도록 설계된 펀드. 해당 주가지수에 편입된 주식의 바...

  • 실효세율

    실제로 납세자가 부담하는 세금의 비율. 세법상 정해진 법정세율이 각종 공제, 면세점...

  • 소멸성 DVD

    진공 포장을 벗기면 48~120시간 이후 내용이 자동으로 사라지는 특수 DVD.해당 시간 ...

  • 소프트 타깃[soft target]

    소프트 타깃은 군이나 테러리스트의 공격에 취약한 사람이나 장소등을 뜻한다. 민간인, 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