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수효과
[multiplier effect]정부 지출을 늘릴 경우 지출한 금액보다 많은 수요가 창출되는 현상을 말한다. 예를 들어 정부가 한 기업으로부터 1억원어치의 재화를 구입하면 해당 기업의 고용과 이윤이 늘어나고, 그 기업 근로자들의 소득과 주주들의 이윤이 증가해 이들의 소비가 커진다. 이러한 소비 증가로 다른 기업들이 생산하는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수요도 커진다. 이런 과정을 통해 정부가 처음 지출한 금액보다 많은 수요를 창출하기 때문에 이를 승수효과라고 부른다.
정부 지출로 근로자들의 소득이 증가할 때 소비가 크게 반응해 늘어나야 총수요에 미치는 승수효과가 커진다. 이와 반대로 정부가 지출을 늘려도 총수요가 늘어나지 않는 현상을 구축효과라고한다.
-
스타벅스 지수[Starbucks Index]
세계적 커피업체인 스타벅스사의 주종인 카페라테(tall 사이즈)의 가격을 이용해 실제환율과...
-
시나리오 기법[scenario technique]
미래에 나타날 가능성이 있는 여러 가지 시나리오를 구상해 각각의 전개 과정을 추정하는 기법...
-
수면무호흡증[snoring, sleep apnea]
수면무호흡증은 자는 동안 10초 이상 숨이 멈추는 증상이 반복되는 질환이다. 대개 한 시간...
-
수출업체 선물환 매도
수출업체들이 환율 하락에 따른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일정 기간 뒤 받을 달러를 일정한 환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