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갈라파고스 신드롬

[Galapagos syndrome]

기술적으로 뛰어난 상품이라 하더라도 일부 지역에만 특화되어 있을 경우 그 외의 시장에서는 팔리지 않고 고립되어 가는 현상을 말한다.

일본 휴대폰 인터넷망 아이모드(i-mode)를 개발한 나쓰노 다케시 게이오대 교수가 일본 휴대폰이 기술적으로는 앞서있으나 일본 이외의 지역에서는 팔리지 않는 현상을 가리키며 사용하기 시작했다.

일본(Japan)과 갈라파고스(Galapagos)를 합쳐 잘라파고스(Jalapagos)라고도 부른다.
갈라파고스는 육지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 독자적으로 진화한 종들이 고유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육지와 교류가 시작돼 외부종이 유입되자 면역력이 약한 고유종들이 대거 멸종되거나 멸종 위기를 맞았다.

일본 IT 기업들은 1990년대부터 일본 시장에 특화한 독자적 기술과 서비스, 제품을 발전시키면서 국제 표준과 세계시장의 흐름에서 벗어났다. 이에 따라 글로벌 영향력이 약해졌고 마침내 국내시장마저 빼앗기게 됐다. 세계 최첨단 수준의 기술력을 갖추고도 세계시장에 진출하지 못하고 국내시장마저 내주게 된 것이다.

  • 가솔린 직분사 압축 점화[gasoline direct compression ignition, GDCI]

    엔진의 실린더 내에 연료를 분사한 뒤 점화플러그에서 불꽃을 일으켜 폭발시키는 직분사 방식에...

  • 가등기[provisional registration]

    장래의 본등기에 대비하여 미리 등기부상의 순위를 보전하기 위해 행하는 등기. 가등기...

  • 구조화 투자전문회사[structured investment vechicle, SIV]

    미국의 투자은행들이 고수익 고위험의 자산에 투자하기 위해 설립한 투자전문회사다. 이들은 단...

  • 공정경제3법

    정부와 여당이 주도한 상법개정안과 공정거래법 개정안, 그리고 금융그룹 감독에 관한 법률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