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감자

[減資, reduction of capital]

감자는 회사의 자본금을 줄이는 과정을 의미하며, 이는 각종 잉여금자기자본을 포함한 자산에서 대손충당금 및 주식평가손충당금 등 부채 요인을 제외한 후 순수자산가치를 산정하여, 해당 가치에 맞춰 자본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순수자산가치가 자기자본의 절반 수준이라면, 과도한 자본을 줄여 기업의 재무 구조를 보다 실질적으로 반영하는 것이다.

감자의 방법에는 주식금액 감소, 주식 수 감소, 주식금액과 주식수를 동시에 감소하는 혼합형이 있다.

감자를 하는 이유는 다양하다. 누적결손으로 인해 자본금이 잠식됐을 경우 이 잠식분을 반영하기 위해 감자가 이뤄진다. 또 회사 분할이나 합병, 신규투자자금 유치 등을 위해서도 감자가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납입자본금이 10억원인 회사의 실제자본금이 5억원으로 줄었을 경우 5억원만큼 감자를 해야만 장부상 회사가치와 실제 기업가치가 같아져 외부투자자를 끌어들일 수 있다. 이같은 감자는 기존 주주들에게 큰 손해를 초래할 수 있는 사안이기 때문에 주주총회의 특별결의를 거쳐야만 시행할 수 있다.

  • 국가기반시설

    국민의 생명과 재산, 경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지속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 공경매

    법원이나 한국자산관리공사와 같은 국가기관이나 공공기관이 집행주체가 되어 행하는 경매

  • 공익법인

    자선·장학사업 등 공익성을 갖는 비영리사업을 목적으로 한 법인. 공익법인의 설립운영에 관한...

  •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컴퓨터 등을 사용한 인공적인 기술로 만들어낸, 실제와 유사하지만 실제가 아닌 특정한 환경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