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역전환사채

[reverse convertible debenture]

증권 발행 당시에 정한 사유가 발생하면 주식으로 자동 전환되는 채권을 말한다.

예를 들어 은행의 국제결제은행 (BIS)기준 자기자본비율이 일정순준 밑으로 떨어지는 등 재무구조가 악화 되면 자동적으로 주식으로 전환되는 채권을 말한다.

미국 플로리다 대학의 플래너리 교수가 지난 2005년에 제시한 개념이다. 채권이 주식으로 전환되면 자본금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은행으로서는 여타 채권에 비해 높은 금리를 지불하는 대신 위기상황에 대비한 안전장치를 갖는 셈이다.

관련어

  • 엠캐드[Mechanical Computer Aided Design, MCAD]

    고성능 기계용 CAD(Computer Aided Design)를 뜻한다. CAD는 컴퓨터를...

  • 아리랑 6호

    아리랑 5호를 대체하기 위해 제작된 국산 다목적 실용위성. 2022년 말 러시아 모스...

  • 유러 CP[ECP]

    유러통화표시의 기업어음. 유럽금융센터에서 매매중개기관(dealer)을 통해 일반 투자가를 ...

  • 유리화기술

    중금속 및 방사성 폐기물과 같은 유해 물질들을 유리구조에 가둬 환경에 누출되지 않도록 영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