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전환사채
[reverse convertible debenture]증권 발행 당시에 정한 사유가 발생하면 주식으로 자동 전환되는 채권을 말한다.
예를 들어 은행의 국제결제은행 (BIS)기준 자기자본비율이 일정순준 밑으로 떨어지는 등 재무구조가 악화 되면 자동적으로 주식으로 전환되는 채권을 말한다.
미국 플로리다 대학의 플래너리 교수가 지난 2005년에 제시한 개념이다. 채권이 주식으로 전환되면 자본금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은행으로서는 여타 채권에 비해 높은 금리를 지불하는 대신 위기상황에 대비한 안전장치를 갖는 셈이다.
관련어
- 참조어코코본드
-
앱카드
스마트폰에 카드사의 전용 앱(응용프로그램)을 깔고 기존 신용카드 번호를 등록하면 바코드나 ...
-
원천징수[collection of the source]
세금은 그것이 어떤 절차를 통해서 징수되느냐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뉜다. 하나는 ...
-
열차집중제어장치[Centralized Traffic Control, CTC]
철도의 고속화 및 노선의 복합화로 인해 늘어난 신호장치와 열차수를 중앙관제실에서 일괄 통제...
-
양자점발광다이오드[quantum dot LED, QLED]
빛의 파장에 따라 다른 색상을 내는 반도체 소재인 퀀텀닷을 LCD패널에 부착한 디스플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