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전환사채
[reverse convertible debenture]증권 발행 당시에 정한 사유가 발생하면 주식으로 자동 전환되는 채권을 말한다.
예를 들어 은행의 국제결제은행 (BIS)기준 자기자본비율이 일정순준 밑으로 떨어지는 등 재무구조가 악화 되면 자동적으로 주식으로 전환되는 채권을 말한다.
미국 플로리다 대학의 플래너리 교수가 지난 2005년에 제시한 개념이다. 채권이 주식으로 전환되면 자본금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은행으로서는 여타 채권에 비해 높은 금리를 지불하는 대신 위기상황에 대비한 안전장치를 갖는 셈이다.
관련어
- 참조어코코본드
-
인정기구
법 및 국제표준관련기구에서 정한 국제기준에 의거 교정기관, 시험기관 또는 검사기관을 평가하...
-
유료방송 합산규제
유료방송 시장점유율을 사업자별로 규제하는 것. 방송법상 케이블TV와 IP TV 사업자는 각...
-
이전가격세제
국내에 있는 기업이 외국에 있는 특수 관계인과 상거래를 하면서 가격을 조작해 탈세를 하는 ...
-
위구르법 2019[the Uygur Intervention and Global Humanitarian Unified Response Act of 2019]
2019년 9월 미국 상원을 9월 상원을 통과한 위구르법을 강화한 것으로 중국 신장위구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