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가계저축률

 

세금과 이자 등을 제외하고 개인이 쓸 수 있는 처분가능소득 중 소비지출을 제한 나머지의 비율.



일반적으로 플러스를 기록하지만 신용을 통한 차입이나 예금인출, 투자자산의 매각 등을 통해 가처분소득을 상회하는 지출을 하면 마이너스가 되는 경우도 있다.

한국의 가계저축률은 고도성장기였던 1975년 7.5%에서 1988년 25.9%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떨어지기 시작해 2000년대 들어 금리하락과 함께 10% 미만으로 낮아졌다가 2021년 현재 11.6%를 기록했다.

관련어

  • 기업활력제고를 위한 특별법

    공급과잉 업종 기업이 신속하게 사업 재편을 할 수 있도록 인수합병(M&A) 등 사업 재편을...

  • 경쟁업체비율

    재무비율을 통해서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즉, 재무제표의 자료를 ...

  • 감채기금[減債基金, sinking fund]

    감채기금은 특정 채무 상환 또는 특정 목적 자금 마련을 위해 별도의 계정에 적립되는 자금을...

  • 국제적 공중보건비상사태[Public Health Emergency of International Concern, PHEIC]

    세계보건기구(WHO)가 심각한 질병이 세계적으로 유행할 우려가 있는 경우 선포하는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