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주민소환제

 

주민들이 지방자치체제의 행정처분이나 결정에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고 판단할 경우 단체장을 통제할 수 있는 제도이다. 일정한 절차를 거쳐 해당 지역의 단체장을 불러 문제 사안에 대한 설명을 들은 뒤 투표를 통해 단체장을 제재할 수 있다. 정치인에 대한 가장 확실하고 직접적인 통제수단으로 지자체장들의 독단적 행정운영과 비리 등 폐단을 막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우리나라에서는 2007년 7월부터 실시됐다.

  • 자산·부채종합관리[asset & liability management, ALM]

    자산·부채 종합관리는 금리 및 자금수급 등의 여건 변화 시 금융기관의 수익이 극대화되도록 ...

  • 절벽효과[cliff effect]

    금융시장에서 발생한 사건 하나가 사람들 심리에 악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실물경제에 엄청난...

  • 종합통장대출

    입출금이 자유로운 통장을 거래하는 기존 고객의 예금평잔, 이체내역 등 거래실적을 감안하여 ...

  • 재개발 추진요건

    재개발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건축물 소유자 총수의 3분의 2이상의 동의로 사업시행인가를 받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