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저녹스 버너

 

저녹스버너는 연소 시 화염 온도 및 산소농도를 조절해 연소 효율을 높인 고성능 버너로 최대 77.4%에 달하는 질소산화물(NOx) 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녹스버너는 연소 효율을 높인 고성능 버너로 미세먼지의 원인이 되는 질소산화물(NOx) 줄이는 효과가 있다.

2019년 경기도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저녹스버너 보급사업을 펼친바있다. 이 사업은 일반버너로 작동되는 보일러, 냉온수기를 사용하는 도내 사업장에 저녹스버너 및 부대설비 설치비용의 90% 수준을 지원하는 것으로 2019년 총 사업비는 24억3000여 만원으로 372대 지원분이다.
경기도는 2006년부터 저녹스버너 보급사업을 추진해 2018년 까지 총 3055대에 달하는 저녹스버너를 보급했다.

  • 잔사유

    원유에서 휘발유 경유 등유 같은 경질유를 정제하고 남은 찌꺼기 기름 . 벙커 C유와 아스팔...

  • 중견기업

    대기업(상호출자제한기업)과 중소기업의 중간에 위치하는 기업을 가리키는 말. 업종별 ...

  • 전자결제[electronics settlement]

    어음·수표 등에 의한 장표방식결제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지급결제 절차가 장표 사용 없이 전자...

  • 조세시효[tax statute of limitations]

    조세시효란 국가가 납세자에게 세금을 부과할 수 있는 법정 시한을 의미한다. 조세시효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