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우리 세대

[Generation We]

기술혁신을 지향하며 현실에 대한 비판과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긍정적인 미래를 이루어낼 수 있다고 생각하는 미국의 30대 미만의 젊은 층을 말한다. 이들은 이념적으로 오바마와 호흡을 같이해 오바마 당선의 원동력으로 손꼽힌다. 2007년 3월 <내셔널 저널>에 소개된 개념으로 2008년 10월 에릭 그린버그의 저서 <제네레이션 위: 밀레니엄 청년들이 어떻게 미국 사회를 장악하고 세계를 영구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는가>가 출간되면서 미국 사회의 세대 변화를 설명하는 새로운 용어로 자리잡고 있다. 그린버그에 따르면 ''우리세대''는 디지털 키즈들로 현실과 가상 공간 모두에서 네트워크에 들어가 개인주의보다 공동체 의식, 즉 ‘우리’라는 연대의식이 강하며 개인의 영달보다는 사회의 집단적 발전을 지향한다.

  • 유로채

    채권발행자가 해외에서 제3국의 화폐로 발행하는 채권. 대부분 유럽지역에서 발행되므로 이런 ...

  • 오염배출권

    일정 지역 내에서 배출할 수 있는 오염의 총량이 정해지면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해당 지역의 ...

  • 유턴기업

    해외로 진출했다가 국내로 복귀하는 기업. ‘다시 돌아온다’는 의미에서 유턴(U-tu...

  • 이즈리얼 커즈너

    이즈리얼 커즈너 미국 뉴욕대 명예교수(87)는 영국에서 유대인 랍비의 아들로 태어났다. 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