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국가통합인증마크

[Korea Certification Mark, KC Mark]

전기용품, 공산품, 승강기, 가스용품 등 품목별로 서로 다른 13개의 법정 강제인증마크를 통합할 단일 인증 마크.

2009년 7월부터 지식경제부가 우선 도입한 후, 2010년 말까지 전부처로 확대ㆍ실시될 예정이다.

KC인증, KC마크 등으로도 불린다.

KC 인증은 안전·보건·환경·품질 등과 관련한 13개 부처 법정 강제 인증 마크를 하나로 통합한 국가통합인증마크(Korea Certification)를 뜻한다.

다양한 인증 마크로 인한 소비자 혼란을 해소하고 정책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정식 수입 절차를 거친 제품들은 KC 인증을 받아야 국내에 유통될 수 있다.

  • 가스절연개폐장치[gas-insulated switch gear, GIS]

    발전소나 변전소에 설치되는 전력 설비의 주 보호장치로서 정상개폐는 물론 고장 발생시에도 과...

  • 국가표준심의회

    국가표준기본계획 등 표준·인증관련 중요정책사항에 대한 최고 심의·의결기구. 총리를 의장으로...

  • 공증유언

    유언자가 증인 두 명이 참여한 상태에서 변호사 등 공증인에게 유언의 취지를 말하고 공증인이...

  • 골든 크로스[golden cross, GC]

    골든 크로스는 단기 주가이동평균선이 중장기 이동평균선을 아래에서 위로 돌파하는 현상을 말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