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국가통합인증마크

[Korea Certification Mark, KC Mark]

전기용품, 공산품, 승강기, 가스용품 등 품목별로 서로 다른 13개의 법정 강제인증마크를 통합할 단일 인증 마크.

2009년 7월부터 지식경제부가 우선 도입한 후, 2010년 말까지 전부처로 확대ㆍ실시될 예정이다.

KC인증, KC마크 등으로도 불린다.

KC 인증은 안전·보건·환경·품질 등과 관련한 13개 부처 법정 강제 인증 마크를 하나로 통합한 국가통합인증마크(Korea Certification)를 뜻한다.

다양한 인증 마크로 인한 소비자 혼란을 해소하고 정책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정식 수입 절차를 거친 제품들은 KC 인증을 받아야 국내에 유통될 수 있다.

  • 금융채권[financial bond]

    은행, 증권사, 투자금융회사 등 금융기관이 발행하는 채권을 말한다.금융채권으로는 한국은행이...

  • 금리스와프[interest rate swap, IRS]

    금리스와프는 이자지급조건을 일정기간 바꾸는 것이다. 차입자가 기존 부채 또는 신규 부채에 ...

  • 금융소외자

    신용등급이 낮아(7등급이하) 1·2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지 못하는 등 정상적인 신용활동을 하...

  • 공동부유[共同富裕]

    `함께 잘 살자'라는 뜻의 분배중심의 경제정책. 개혁·개방에 따른 경제 성장의 과실을 공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