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국가통합인증마크

[Korea Certification Mark, KC Mark]

전기용품, 공산품, 승강기, 가스용품 등 품목별로 서로 다른 13개의 법정 강제인증마크를 통합할 단일 인증 마크.

2009년 7월부터 지식경제부가 우선 도입한 후, 2010년 말까지 전부처로 확대ㆍ실시될 예정이다.

KC인증, KC마크 등으로도 불린다.

KC 인증은 안전·보건·환경·품질 등과 관련한 13개 부처 법정 강제 인증 마크를 하나로 통합한 국가통합인증마크(Korea Certification)를 뜻한다.

다양한 인증 마크로 인한 소비자 혼란을 해소하고 정책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정식 수입 절차를 거친 제품들은 KC 인증을 받아야 국내에 유통될 수 있다.

  • 기업취약지수[Corporative Vulnerability Index, CVI]

    국제통화기금(IMF)이 미국 서브프라임 사태 이후 내놓은 지수로 경기상황을 예측하는 잣대로...

  • 국유특허

    국립연구소, 국립대학 등 국가기관에서 공무원이 개발한 특허 기술로 공무원이 직무와 관련해 ...

  • 공적 대외준비

    통화당국이 대외거래의 결제수단으로 보유하고 있는 금, 교환가능한 외환, SDR, IBRD ...

  • 기한이익[benefit of time]

    미리 정한 기간 동안 당사자가 누리는 이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