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구동모터코아

[driving motor core]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 등 친환경 자동차의 구동모터에 탑재되는 핵심 부품이다. 전기에너지를 기계적 회전력으로 변환해 차량을 움직이게 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자(스테이터 코어)와 회전자(로터 코어)로 구성된다. 고정자에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이 형성되고, 이에 반응한 회전자가 회전하면서 동력을 차축으로 전달한다. 내연기관 자동차의 엔진에 해당하는 부품으로, 전기차 업계에서는 '전기차의 심장'이라 부른다.
구동모터코어의 성능과 품질은 모터 효율성과 에너지 손실, 소음·진동 억제에 직결된다. 결과적으로 전기차의 주행거리와 연비, 출력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다. 전기차 시장 확대와 함께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일부 고성능 전기차는 바퀴별로 4개의 모터코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 국민연금[National Pension Service]

    국민의 노령, 질병, 사망에 대비하여 연금급여를 실시하여 국민의 생활안정과 복지증진을 목적...

  • 기업취약지수[Corporative Vulnerability Index, CVI]

    국제통화기금(IMF)이 미국 서브프라임 사태 이후 내놓은 지수로 경기상황을 예측하는 잣대로...

  • 경영이양보조금

    3년 이상 자경한 농지를 농촌공사나 영농법인 등에게 매도 및 5년 이상 임대 또는 사용대차...

  • 구조화 커버드 본드

    은행 등이 일정한 요건을 갖춘 우량자산(주택담보대출채권, 공공대출채권 등)을 담보로 발행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