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국립대 법인화

 

국립대학이 총장을 중심으로 효율적·자율적 책임경영을 할 수 있도록 법률상의 권리와 의무의 주체로 만드는 것. 현재 국립대의 법적 지위는 법인격이 없는 ''정부조직의 부속기관'' 내지는 ''국가가 설치한 영조물''로 돼 있다. ''국립대학법인의 설립·운영에 관한 특별법안''은 2007년 6월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국회에 상정됐으나 관련 단체들의 반발로 폐기됐다. 일본에서는 2004년 4월부터 89개 국립대가 법인화됐으며 독립법인 도쿄대는 일본 최대 신용평가기관으로부터 가장 높은 투자등급인 트리플A를 받았다.

  • 기준년개편[revision of benchmark year]

    경상가격으로 평가된 국민계정통계를 불변가격으로 환산하고자 할 때 각 상품에 대하여 특정 시...

  • 김치 코인

    한국에서 발행된 가상화폐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버거코인과 구분하여 사용된다. 김치코인...

  • 경험생명표

    보험 가입자의 성별·연령별 사망률과 사고율을 산출한 표로 각 보험사는 이를 바탕으로 보험료...

  • 기술담보대출

    기술담보대출은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 자체의 가치를 금액으로 환산, 이를 담보로 자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