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 법인화
국립대학이 총장을 중심으로 효율적·자율적 책임경영을 할 수 있도록 법률상의 권리와 의무의 주체로 만드는 것. 현재 국립대의 법적 지위는 법인격이 없는 ''정부조직의 부속기관'' 내지는 ''국가가 설치한 영조물''로 돼 있다. ''국립대학법인의 설립·운영에 관한 특별법안''은 2007년 6월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국회에 상정됐으나 관련 단체들의 반발로 폐기됐다. 일본에서는 2004년 4월부터 89개 국립대가 법인화됐으며 독립법인 도쿄대는 일본 최대 신용평가기관으로부터 가장 높은 투자등급인 트리플A를 받았다.
-
고정환율제도[fixed exchange rate]
정부가 환율을 일정 범위 내로 고정시킴으로써 환율 안정을 도모하는 제도. 이와 상대되는 개...
-
기만광고[deceptive advertising]
기만광고란 소비자에게 사실과 다른 정보나 오해의 소지가 있는 표현을 통해 잘못된 인상을 심...
-
국민총매력지수[Gross National Cool, GNC]
2002년 미국의 뉴아메리칸재단 연구원이자 미래학자인 더글러스 맥그레이란 사람이 처음 사용...
-
광가변잉크[Color Shifting Ink]
광반사 특성이 서로 다른 물질로 구성된 특수 잉크로, 보는 각도에 따라 액면숫자의 색상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