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국립대 법인화

 

국립대학이 총장을 중심으로 효율적·자율적 책임경영을 할 수 있도록 법률상의 권리와 의무의 주체로 만드는 것. 현재 국립대의 법적 지위는 법인격이 없는 ''정부조직의 부속기관'' 내지는 ''국가가 설치한 영조물''로 돼 있다. ''국립대학법인의 설립·운영에 관한 특별법안''은 2007년 6월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국회에 상정됐으나 관련 단체들의 반발로 폐기됐다. 일본에서는 2004년 4월부터 89개 국립대가 법인화됐으며 독립법인 도쿄대는 일본 최대 신용평가기관으로부터 가장 높은 투자등급인 트리플A를 받았다.

  • 고 민감도 자성나노물질

    나노기술로 자성 특성이 최적화된 10㎚ 크기의 산화철계열 나노 입자로 자기공명영상(MRI)...

  • 기관투자가[institutional investor]

    개인이나 법인으로 자금을 조성하여 증권시장에 투자하고 있는 법인 형태의 투자자를 말한다. ...

  • 경제정의지수

    이는 경제정의실천 시민연합의 경제정의연구소가 설정한 바람직한 기업이 갖추어야 할 요건으로 ...

  • 그린 뉴딜정책[Green New Deal Policy]

    그린 뉴딜은 '그린(green)'과 '뉴딜(New Deal, 미국의 루스벨트 대통령이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