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고환율정책

 

말 그대로 환율을 높게 유지하는 걸 말한다. 원·달러 환율은 ''1달러당 1000원''의 방식으로 표시된다. 환율이 1달러당 1000원에서 1100원, 1200원 등으로 높아지면 고환율이 된다. 원화가치가 떨어진다는 의미다. 1달러를 사기 위해 더 많은 원화를 지불해야 하기 때문이다. 즉 고환율 정책은 원화 가치를 낮게 가져간다는 것과 같은 의미다. 고환율 정책을 쓰면 경상수지를 개선할 수 있다. 원화가치가 떨어지면 수출품에 가격 경쟁력이 생겨 수출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반면 수입품 가격은 올라가는 결과를 가져와 물가 상승과 내수 부진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고환율 정책의 직접적 수단은 정부가 외환시장에서 달러를 사들이는 것이다. 시장에서 달러 수요가 늘어나면 달러 값은 올라가고, 상대적으로 원화가치는 떨어진다. 외환위기나 글로벌 금융위기에서 보듯 경제 위기가 오면 기축통화인 달러를 보유하려는 경향이 뚜렷해지기 때문에 시장개입 없이도 환율은 상승하게 된다.

  • 금융비용[financial expenses]

    장·단기 차입금 및 사채에 대한 대가로 이자비용의 합계에서 이자수익을 차감한 잔액을 말한다...

  • 과점담합[collusive oligopoly]

    소수의 생산업자들을 포함하는 산업에 생산업자들은 산출가격과 산출시장의 할당에 관하여 서로간...

  • 관리처분계획

    재개발 등의 사업시행 이전에 토지나 건축물의 위치·면적·용도·지형 등 주변여건을 종합적으로...

  • 글래머 주식[glamor stock]

    미국 증권계의 용어로 지극히 매력적인 주식이라는 의미로서 대단히 성장성이 높은 우량주를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