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환율정책
말 그대로 환율을 높게 유지하는 걸 말한다. 원·달러 환율은 ''1달러당 1000원''의 방식으로 표시된다. 환율이 1달러당 1000원에서 1100원, 1200원 등으로 높아지면 고환율이 된다. 원화가치가 떨어진다는 의미다. 1달러를 사기 위해 더 많은 원화를 지불해야 하기 때문이다. 즉 고환율 정책은 원화 가치를 낮게 가져간다는 것과 같은 의미다. 고환율 정책을 쓰면 경상수지를 개선할 수 있다. 원화가치가 떨어지면 수출품에 가격 경쟁력이 생겨 수출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반면 수입품 가격은 올라가는 결과를 가져와 물가 상승과 내수 부진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고환율 정책의 직접적 수단은 정부가 외환시장에서 달러를 사들이는 것이다. 시장에서 달러 수요가 늘어나면 달러 값은 올라가고, 상대적으로 원화가치는 떨어진다. 외환위기나 글로벌 금융위기에서 보듯 경제 위기가 오면 기축통화인 달러를 보유하려는 경향이 뚜렷해지기 때문에 시장개입 없이도 환율은 상승하게 된다.
-
공공자금관리기금
정부가 연금, 기금, 우체국 예금 등과 같은 공공자금을 민간시장에서 굴리지 않고 공공투자나...
-
기간통신사업[facilities-based telecommunications business]
전기통신회선설비를 설치하고 이을 이용하여 전신, 전화 등과 같이 공익성이 큰 기간통신역무를...
-
가상광고[virtual advertising]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해 실제 현장에는 없는 가상의 이미지를 만들어 이를 프로그램에 삽입해 ...
-
국제수학자총회[International Congress of Mathematicians, ICM]
수학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학술 대회로, 4년에 한 번씩 개최된다. 이 대회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