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탄소발자국

[carbon footprint]

개인이나 기업 등이 상품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총량을 의미한다.

기후 변화의 주범인 탄소를 줄이기 위한 취지로 2006년 영국 의회 과학기술처(POST)가 제안한 개념으로, 제품 하나를 생산하기 위한 원료 채취·유통·생산·판매·사용·폐기까지 전 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는 것을 빗댄 용어다. 제품의 생애 주기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는 무게 단위인 kg이나 광합성을 통해 상쇄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양을 나무 수로 환산해 표기한다.

탄소 발자국은 제품 생산이나 시스템의 모든 과정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전과정평가(LCA)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흔히 LCA와 탄소 발자국을 혼용하지만 정확히 말하면 LCA가 좀 더 넓은 개념이다. LCA는 온실가스뿐만 아니라 에너지·대기·토양 등 환경에 대한 기업이나 개인의 영향을 평가한다. 이를 통해 산출된 결과 중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수치화한 것이 탄소 발자국이다.

인증 취득부터 자체 시스템 구축까지

기업들은 탄소 발자국 인증을 탄소 감축을 입증하는 일종의 ‘라벨’로 활용하고 있다. 탄소 발자국 인증이 기업이 생산한 제품의 환경 성적을 나타내는 인증 수단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특히 이전에는 자발적 영역이던 인증이 글로벌 규제에 포함되면서 기업의 대응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

특히 유럽연합(EU) 차원에서 시작된 규제 바람이 거세다. EU의 핵심 원자재법(CRMA) 초안에 핵심 원자재 판매 기업을 대상으로 탄소 발자국 정보를 요구하는 방안이 포함됐고 이후 산업 및 전기차용 배터리 생산 공정을 공시하는 세부안도 논의됐다. 최종적으로는 공급망 데이터를 담은 EU 배터리 여권 시스템을 2024년 의무화하기로 해 배터리 기업의 탄소 발자국 공시가 불가피하게 됐다.
관련 기업들은 국내외 인증 기관에서 제품 탄소 발자국 인증을 받거나 자체적으로 LCA를 진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확보하는 등 대응을 서두르고 있다.

대표적 인증으로는 해외는 영국 비영리 기구 ‘카본 트러스트’의 탄소 발자국 인증, 한국에는 환경성적표지 인증이 있다. 카본 트러스트는 2001년부터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해 탄소 저감, 패키지 탄소 저감, 탄소 중립 등 다양한 인증을 제공한다.

  • 탄소차액계약제도[Carbon Contracts for Difference, CCfD]

    기업이 저탄소 기술을 채택하고 탄소 배출을 줄이는 것을 유인하기 위해, 일정 기간 동안 정...

  • 투매[panic selling, dumping]

    주가하락이 예상될 때, 이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량으로 파는 것을 말한다. 이러...

  • 투자선도지구

    특정 지역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규제 완화, 자금 지원 등을 통해 투자를 유도하는 지역....

  • 특별유보금[special reserve]

    특별유보금은 불특정금전신탁중 원본 또는 이익의 보전 계약이있는 신탁의 보전을 위하여 적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