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산금리
[spread]은행 등 금융회사가 채권이나 대출금리를 정할 때 기준금리에 덧붙이는 위험가중 금리를 말하며, 스프레드(spread)라고도 한다.
은행 인건비 등 업무원가, 위험비용, 목표이익률 등을 합쳐 산출한다.
위험이 적으면 가산금리가 낮아지고, 위험이 많으면 가산금리는 높아진다. 기준금리는 큰 변동이 없으므로 통상시장에서는 가산금리의 변동을 체크하게 된다. 가산금리가 오르면 그만큼 채권의 위험도가 높아졌고, 가격은 떨어졌다는 의미이다.
양도성예금증서(CD)연동 주택대출 금리는 CD금리가 기준금리이고 은행은 조달비용 영업이윤 고객신용도 등을 고려해 가산금리를 정한다. 주택대출의 가산금리는 통상 1.5~3% 수준이며 고객 신용도가 높을수록 가산금리가 낮아진다. 가산금리의 단위로는 베이시스 포인트(basis point)가 사용되는데 bp는 가산금리의 % 아래 두자리째가 기준점이다. 즉 1bp는 0.01% 포인트이고 가령 3.45%의 가산금리는 345bp라고 읽는다.
관련어
- 동의어스프레드
-
공적공간
개인이 소유한 땅이지만 일반시민들도 이용할 수 있는 공공적 성격의 공간으로 공공보행통로, ...
-
공개입찰[open bid]
원자재 및 공사의 가격제시에 의한 계약의사 표시를 말한다. 동일 공사에 대한 가격인하 효과...
-
국제화도메인이름[Internationalized Domain Names, IDN]
순수 자국 언어를 기반으로 한 도메인 이름으로 국제인터넷 주소관리기구 (ICANN)에서 추...
-
구전마케팅[Word of mouth marketing, WOM]
제품, 서비스, 기업이미지 등을 마케팅하는 데 소비자의 입소문을 활용하는 것. 대중매체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