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이산화탄소 포집ㆍ저장기술

[Carbon Capture & Storage, CCS]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붙잡아 땅속이나 바다 등에 묻는 기술.
이 기술을 이용하면 화석연료전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90% 이상을 포집(capture)한 후 압축해 비어있는 유전, 가스전 또는 대염수층에 주입해 저장(storage)할 수 있다. 포집해 압축된 이산화탄소는 파이프라인이나 선박으로 수송된다.

또한, 석유나 천연가스보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은 석탄을 환경 친화적인 연료, 곧 청정 석탄으로 만들 수도 있다.

CCS는 태양광이나 풍력발전 등 신재생에너지처럼 원천적으로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지 않는 지구온난화의 근본적 해결책은 아니다. 그러나 적어도 향후 50년은 화석연료가 주요 에너지원이 될 것이란 점에서 현실적인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다.

관련어

  • 원자재 통화[commodity currency]

    원유와 철광석, 금, 구리 등 원자재 가격 변동에 민감한 통화를 일컫는 용어다. 원자재 수...

  • 여진[餘震, aftershock]

    어느 제한된 지각구조내에서 일어난 일련의 지진들 중 가장 큰 지진 이후 발생한 작은 지진.

  • 아서 래퍼[Arthur B. Laffer]

    아서 래퍼(Arthur B Laffer)는 미국의 대표적인 공급주의 경제학자다. 미국 테네...

  • 인터루킨[interlukin]

    사람의 몸 안에서 면역체계를 조절하는 물질이다. 면역세포인 T세포 증식과 활성화 등에 관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