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화탄소 포집ㆍ저장기술
[Carbon Capture & Storage, CCS]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붙잡아 땅속이나 바다 등에 묻는 기술.
이 기술을 이용하면 화석연료전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90% 이상을 포집(capture)한 후 압축해 비어있는 유전, 가스전 또는 대염수층에 주입해 저장(storage)할 수 있다. 포집해 압축된 이산화탄소는 파이프라인이나 선박으로 수송된다.
또한, 석유나 천연가스보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은 석탄을 환경 친화적인 연료, 곧 청정 석탄으로 만들 수도 있다.
CCS는 태양광이나 풍력발전 등 신재생에너지처럼 원천적으로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지 않는 지구온난화의 근본적 해결책은 아니다. 그러나 적어도 향후 50년은 화석연료가 주요 에너지원이 될 것이란 점에서 현실적인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다.
관련어
- 참조어탄소 포집과 활용
-
원자재 DLS
원유 금 은 등을 기초자산으로 활용하는 파생상품. 해당 원자재값이 만기 때까지 계약 시점보...
-
연명의료결정법
회생의 가능성이 없고 치료에도 불구하고 급격히 상태가 악화돼 사망에 임박한 환자에게 무의미...
-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2019년 2월 정부와 SK하이닉스가 차세대 메모리반도체 생산 기지 마련을 위해 합동으로 ...
-
원유집적도
실질 국내총생산(GDP) 1단위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원유 소비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