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거노믹스
[Reaganomics]''레이건''과 ''이코노믹스''의 복합어로, 미국 레이건 대통령이 추진한 경제정책이다. 세출삭감, 소득세 대폭 감면, 기업에 대한 정부규제 완화, 안정적 금융정책 등을 통해 공급측면을 자극함으로써 스태그플레이션에서 벗어나겠다는 ''공급주의 경제학''이다.
레이거노믹스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 사람은 래퍼(A.B. Laffer)다. 래퍼는 한 나라의 세율이 적정수준을 넘어 비정상 혹은 비표준 지대에 놓여 있을 때에는 오히려 세율을 낮춰주는 것이 경제주체들의 창의력을 높여 경기와 세수가 동시에 회복될 수 있다는 이른바 ‘래퍼 효과(Laffer effect)’를 제시했다.
레이거노믹스는 J.M.케인즈의 ''유효수요론''에서 벗어난 것으로 관심을 끌었지만 재정적자 급증의 한 원인으로 지목되는 등 논란을 초래하기도 했다.
-
로이드[Lloyd’s]
영국의 해상보험인수인 단체. 17세기에 영국의 로이드(E. Lloyd)가 경영한 다방에서 ...
-
러프 패치[rough patch]
경기 회복기의 일시적 침체를 뜻하는 ''소프트 패치(soft patch)''보다 상태가 더...
-
리플레이션 트레이드[reflation trade]
경기와 물가가 살아날 것으로 보고 장기 채권을 팔고 주식을 매수하는 행태를 말한다. 오랫동...
-
리엔지니어링[reengineering]
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경영기법의 하나로 주된 내용은 인원삭감, 권한이양, 직원의 재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