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등락비율

[advance-decline ratio, ADR]

상승 종목수와 하락 종목수의 비율을 말한다. 등락비율은 천정권을 예측하는 기능보다 저가권을 발견하는 기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1) 작성법 : 일정 기간 동안 매일의 상승 종목수를 하락 종목수로 나누어 백분비를 구하고 그것을 이동평균하여 도표화한다.

(2) 등락비율의 해석 : 등락비율이 100%라면 상승 종목수와 하락 종목수가 같다는 소리이고 110%라면 상승종목이 10% 더 많다는 뜻이다. 등락비율의 상승은 시장인기의 확대를 뜻하고 등락비율의 하락은 시장인기의 저하를 뜻한다.

① 등락비율이 120% 이상일 때는 경계를 요하는 시점이고 시세는 그 후 반락하는 경우가 많다.

② 등락비율이 70% 이하일 때는 시세는 바닥권을 의미하고 시장은 그 후 상승으로 전환한다.

③ 등락비율의 피크는 주가의 피크보다 선행하는 경우가 많다.

  • 동시호가[synchronized bidding]

    장 시작 전 시초가를 결정할 때나 마지막 종가를 결정할 때 단일 가격을 산출하는 방법으로서...

  • 독립리서치회사[independent research provider, IRP]

    증권사 내에 설립된 리서치센터와 달리 전문적인 보고서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독립된 회사를 ...

  • 대위변제

    채무자가 은행에 대출금을 변제 못할 경우 보증기관에서 채무자를 대신하여 채무를 상환하는 것...

  • 디가우징[degaussing]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강력한 자기장을 이용하여 복구할 수 없도록 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