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등락비율

[advance-decline ratio, ADR]

상승 종목수와 하락 종목수의 비율을 말한다. 등락비율은 천정권을 예측하는 기능보다 저가권을 발견하는 기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1) 작성법 : 일정 기간 동안 매일의 상승 종목수를 하락 종목수로 나누어 백분비를 구하고 그것을 이동평균하여 도표화한다.

(2) 등락비율의 해석 : 등락비율이 100%라면 상승 종목수와 하락 종목수가 같다는 소리이고 110%라면 상승종목이 10% 더 많다는 뜻이다. 등락비율의 상승은 시장인기의 확대를 뜻하고 등락비율의 하락은 시장인기의 저하를 뜻한다.

① 등락비율이 120% 이상일 때는 경계를 요하는 시점이고 시세는 그 후 반락하는 경우가 많다.

② 등락비율이 70% 이하일 때는 시세는 바닥권을 의미하고 시장은 그 후 상승으로 전환한다.

③ 등락비율의 피크는 주가의 피크보다 선행하는 경우가 많다.

  • 대심도 고속전철

    지하 50m 이하의 깊이의 직선 철로를 통해 수도권 지역에서 서울 도심까지 30분 안팎에 ...

  • 단독세대주

    세대 구성원이 1명인 가구의 세대주를 말한다.

  • 동박[elecfoil, copper foil]

    황산구리용액을 전기 분해해 만드는 두께 10㎛(1㎛=100만분의 1m) 이하의 얇은 구리 ...

  • 대기성 여수신제도

    금융기관이 단기자금을 콜금리시장에서 조달하지 못했을 때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에서 돈을 빌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