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덤핑방지관세

[anti-dumping duty]

외국에서 수입되는 물품이 국내시장에서 정상가격 이하로 판매됨으로써 국내산업이 실질적인 피해를 받거나 피해를 받을 우려가 있는 경우 또는 국내산업 개발이 실질적으로 지연되어 해당 국내산업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될 때 부과하는 관세를 말한다. 여기서 정상가격이란 해당 물품의 수출국에서 소비되는 동종, 동질물품 또는 유사물품의 통상거래가격을 말한다. 덤핑수입이 인정되고 국내산업에 대한 실질적 피해가 인정되는 경우에는 정상가격과 덤핑가격과의 차이에 상당하는 크기의 덤핑방지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

관련어

  • 동반진단

    특정 약물이 환자에게 효과가 있을지 미리 알아보는 진단법. 임상 전 약효를 보일 환자를 선...

  • 도심항공교통[urban air mobility, UAM]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ity)은 도심 상공에서 사람이나 화물을 ...

  • 다이옥신[dioxine]

    베트남 전쟁 때 사용된 고엽제의 한 성분으로 ‘인간이 만든 화학물 중 가장 독성이 강한 물...

  • 딜레이드 코커[delayed coker]

    중질유를 분해해 LPG, 나프타 등 고부가가치 경질유를 생산하는 시설. 원유를 정제하고 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