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더블 딥

[double dip]

경기가 침체된 후 회복되는 듯이 보이다가 다시금 침체로 빠져드는 현상.

일반적으로 경기 침체로 규정되는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 직후 잠시 회복 기미를 보이다가 다시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으로 추락하는 것을 말한다.

두 번의 경기침체를 겪어야 회복기로 돌아선다는 점에서 ''W자형'' 경제구조라고도 한다.

우리말로는 '이중하강', '이중하락', '이중침체' 등으로 번역된다. 2001년 미국 모건스탠리 증권의 스테판 로치가 미국 경제를 진단하며 이 이 표현을 처음 썼다. 스테판 로치에 의하면 과거 6번의 미국 경기침체 중 5번에 더블딥이 있었다고 한다.

관련어

  • 대사성 질환

    비만이나 운동부족, 과잉영양 등 생활습관이 원인이 되는 병으로 당뇨병과 고혈압, 고지혈증,...

  • 동상

    피부 온도가 10도 이하로 내려가 혈관 속에 얼음 결정이 생겨 손상되는 질환이다. 귀 코 ...

  • 대학과목선이수제[advanced placement, AP]

    대학 과정을 고등학교에서 미리 듣는 제도를 뜻한다. 고등학생들이 자신의 능력을 감안해 선택...

  • 대외지급준비자산[external reserves]

    한 나라가 대외결제에 사용할 수 있는 자산으로 그 나라가 보유하고 있는 금, SDR, 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