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더블 딥

[double dip]

경기가 침체된 후 회복되는 듯이 보이다가 다시금 침체로 빠져드는 현상.

일반적으로 경기 침체로 규정되는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 직후 잠시 회복 기미를 보이다가 다시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으로 추락하는 것을 말한다.

두 번의 경기침체를 겪어야 회복기로 돌아선다는 점에서 ''W자형'' 경제구조라고도 한다.

우리말로는 '이중하강', '이중하락', '이중침체' 등으로 번역된다. 2001년 미국 모건스탠리 증권의 스테판 로치가 미국 경제를 진단하며 이 이 표현을 처음 썼다. 스테판 로치에 의하면 과거 6번의 미국 경기침체 중 5번에 더블딥이 있었다고 한다.

관련어

  • 독립투자자문업[independent financial adviser, IFA]

    특정 금융사에 소속돼 있는 전속 자문업자와 달리 금융회사나 금융상품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

  • 대부신탁

    대부신탁은 보통의 신탁처럼 위탁자와 신탁회사가 개별적으로 계약하는 것이 아니라 신탁회사가 ...

  • 대출의 경기순응성[procyclicality]

    금융회사가 경기가 좋아질 때 대출을 늘리고 경기가 나빠질 때 대출을 줄이는 속성을 말한다....

  • 대안 펀드

    주식이나 채권을 투자대상으로 삼지 않고 부동산이나 선박, 금, 원자재, 파생상품 등에 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