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부유먼지

 

눈에 안 보이는 지름 10㎛ 이하(머리카락 굵기의 최대 7분의 1)의 작은 먼지. 황산염, 질산염 등과 같은 독성 물질이 들어 있다. 지름 10㎛(1㎛는 100만분의 1m) 이하의 부유먼지를 PM10, 2.5㎍/㎥ 이하의 먼지(PM2.5)는 미세먼지로 일컫는다.

부유먼지는 자동차 매연과 공장 굴뚝에서 나온 유독물질·중금속 등이 대기 중에서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 만들어진다. 만성질환자·고령자·어린이는 부유먼지 농도가 30㎍/㎥를 넘으면 기침, 안구 따가움, 피부 트러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건강한 성인은 부유먼지 농도가 120㎍/㎥를 넘으면 폐·기도 세포에 염증이 나타난다. 부유먼지보다 입자가 작은 2.5㎛ 이하의 먼지를 미세먼지라 하는데 미세먼지는 인체에 더 잘 침투하고 건강에 더 해롭다.

부유먼지(PM10)와 미세먼지(PM2.5)가 섞인 경우 '흡입성 먼지'로 부른다.

한편, 이와 같은 부유먼지와 미세먼지에 대한 정의는 2017년 3월21일 환경부가 '대기환경보전법', '수도권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 '실내공기질 관리법' 을 변경한데 따른 것이다.

우리나라는 1995년 환경정책기본법에 환경 기준을 적용하며 지름이 10㎛ 이하 물질(PM10)을 '미세먼지'로 부르기 시작했다. 또 2015년 환경기준을 개정해 지름이 2.5㎛ 이하 물질(PM2.5)에 '초미세먼지'라는 명칭을 붙였다.

반면 국제사회에서는 지름 2.5μm 이하의 물질(PM2.5)을 '미세먼지'로, 지름 1μm 이하의 물질을 '초미세먼지'라고 부른다.

환경부가 용어를 변경하면서 20년 넘게 사용돼 온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에 대한 정의가 바뀌면서 적잖은 혼란을 겪게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관련어

  • 법정지상권

    한 사람이 갖고 있던 건물과 토지를 각각 다른 사람이 소유하게 됐을 때 건물 주인에게 생기...

  • 비차익 거래

    비차익거래는 지수선물과는 무관하게 현물시장에서 코스피 종목 가운데 15개 이상 종목을 묶어...

  • 백내장 수술

    노화 등에 따라 회백색으로 혼탁해진 안구 내 수정체를 제거한 뒤 인공 수정체로 교체하는 수...

  • 분리재산[separate property]

    재산공유 상태에서 결혼 전에 배우자 일방이 취득했거나 물려받았거나 결혼 후에 얻은 공유재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