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대량주식소유의 신고

[filing of changes in ownership of block shares]

상장회사 발행주식의 10% 이상을 소유한 주주가 그 소유 주식의 비율이 변할 때마다 증권관리위원회에 신고하는 제도를 말한다. 대리인 이론(agency theory) 대리인 이론은 1976년 젠센과 맥클링에 의해 제기된 이론으로서 기업과 관련된 이해관계자들의 문제는 기업 내의 계약관계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이론이다. 대리인 관계는 한 사람 이상의 사람들이 정해진 범위 내에서 의사결정권을 자신들을 대신하는 다른 사람들에게 의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들간에는 정보의 불균형, 감시의 불완전성 등으로 인해 도덕적 위험이나 무임승차의 문제, 역선택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리인 비용이 수반된다. 대리인 문제는 현대사회의 거의 모든 계약관계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그 응용범위가 광범위하다.

  • 당좌이체

    지급은행에 당좌계정을 가지고 있는 수취인에게 송금인이 송금지의 은행에 당좌이체를 의뢰하고 ...

  • 다운시프트족[downshifts]

    지금까지 눈코 뜰새없이 바쁘게 살아온 삶의 속도를 늦추고 느긋하게 삶을 즐기려는 사람들을 ...

  • 담보취득제한

    은행, 신탁, 투금, 리스, 종금 등 금융기관이 기업에 대출을 해줄 때 담보로 잡는 부동산...

  • 단체표장[collective mark]

    조합이나 협회 등 일정한 단체의 회원이 사용하고 그 회원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는 상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