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단리

[simple interest]

원금에만 이자가 붙는 계산 방식. 이 방식에서는 이자가 발생한 후에는 원금에만 계속해서 이자율이 적용되며, 기존에 발생한 이자에는 추가적인 이자가 붙지 않는다.

예를 들어, 100만 원을 연 5% 단리로 1년간 예치했을 때, 이자는 5만 원이 된다.

단리는 주로 단기 투자나 대출에 사용된다.

반면, 복리는 이자가 다시 이자를 낳는 방식으로, 원금과 이자에 모두 이자가 붙는다.

  • 도매상[wholesaler]

    생산자에게 대량의 재화를 사들여 궁극적인 소비자보다는 다른 분배자, 즉 소매상에게 파는 일...

  • 디가우징[degaussing]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강력한 자기장을 이용하여 복구할 수 없도록 완전...

  • 동산담보대출

    부동산 담보가 부족하거나 신용대출 한도가 꽉 찬 중소기업을 위해 출시된 실물 재산 담보대출...

  • 디플레이터[deflator]

    가격수정인자 변수에서 인플레이션이 갖는 효과를 제거하기 위하여 고안된 통계적 요인이나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