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생활물가지수

[CPI for living necessaries]

소비자물가 조사대상 품목 중 쌀·배추·라면·두부 등 소득과 관계없이 구입하는 기본 생활필수품과 과일·세제 등 분기마다 한 번 이상 구입하는 생활필수품, 기성복·운동화·학비 등 가격 변동에 민감한 품목 등 총 152개 생활필수품을 선정한 후 이들의 평균적인 가격변동을 지수화한 것. 소비자물가지수가 실제 생활물가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단점을 보완하고 ''체감물가''를 파악하기 위해 1998년 4월부터 작성. 발표하고 있다. 품목은 가중치 없이 단순 평균한 점이 소비자물가지수와 다르다. 생활물가지수 가운데 가공식품을 제외한 농산물·수산물·축산물 위주로 구성된 지수를 신선식품지수라고 한다.

  • 스크루플레이션[Screwflation]

    물가 상승과 실질임금 감소 등으로 중산층의 가처분 소득이 줄어드는 현상을 말한다. 돌려 조...

  • 상향여과

    주변여건이 미흡했던 지역이 새롭게 개발되면서 부유층이 유입돼 부촌으로 새롭게 거듭나는 현상...

  • 센트리노

    센트리노는 인텔이 지난달 12일 발표한 새로운 노트북PC 플랫폼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펜티엄...

  • 시니어노믹스[seniornomics]

    65세 이상의 고령인구를 경제활동에 다시 참여시켜 경제 활성화와 성장을 꾀하는 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