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솨단

[刷單]

솨단은 중국어로 ‘신용카드 등을 긁는다’는 의미의 동사인 솨(刷)에 ‘주문’을 뜻하는 단(單)이 조합된 신조어다.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기 시작한 2010년을 전후해 등장했다. 알리바바와 타오바오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 처음 문을 연 업체들이 과거 판매 이력이 없어 생기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솨단을 동원했다. 알리바바 등도 신규 업체의 조기 정착을 위해 이 같은 행위를 장려했다. 하지만 2014~2015년 부터는 유통업체는 물론 제조업체들까지 솨단을 통한 판매량 부풀리기에 나서면서 시장이 혼탁해지고 있다.

솨단은 대행업체를 통해 이뤄진다. 허위 구매 및 제품 평가 한 건당 5~10위안(약 800~1600원)의 수수료가 든다. 대행업체들은 수백에서 수천 명의 아르바이트 인력을 동원해 솨단에 나선다. 시간은 많지만 돈이 부족한 대학생이나 주부들이 아르바이트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인터넷 쇼핑몰에서 주문한 뒤 제조업체에 직접 반품하거나 애초에 빈 상자를 받는 방식으로 판매량을 조작한다. 2013년 19.7%에서 최근 1% 안팎까지 급락한 삼성전자의 중국 내 스마트폰 점유율에도 솨단이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의 국내 판매량도 전체의 20~40%가 이 같은 방식으로 부풀려졌다는 의혹이 나온다. 스마트폰 케이스 등 각종 액세서리 구매가 삼성전자나 애플과 비교해 중국 프리미엄 모델에서 현저히 적기 때문이다. 같은 주소지에서 여러 건의 제품 주문이 나오고 있는 것도 솨단을 의심하는 이유 중 하나다.

솨단이 효과를 거두면서 중국 이외의 지역에서도 솨단을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국내에서도 타오바오 등 중국 온라인 쇼핑몰 입점을 앞둔 업체들을 중심으로 솨단을 통해 판매량을 늘려주겠다는 제안이 잇따르고 있다. 유럽 등 해외 시장 점유율 확대를 노리는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도 현지에서 솨단과 같은 방식의 마케팅을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솨단에 관대했던 중국 정부는 최근 태도를 바꿨다. 2018년 5월부터 중국 공업정보화부와 공안부 등 유관 부서는 7개월에 걸쳐 솨단 행위에 대한 단속에 나서기로 했다. 허위정보에 속아 물건을 구매했다가 손실을 봤다는 소비자들의 제보가 잇따랐기 때문이다. “여행 사이트에 1000개 이상의 좋은 평가가 달린 호텔을 예약해 갔더니 일반 가정집에 화장실도 없더라”는 등의 내용이다.

2019년에 개정되는 중국 전자상거래법이 시행되면 솨단 행위를 처벌할 법적 근거가 마련된다. 하지만 솨단이 사라질지는 미지수다.

  • 시걸형 전략

    그때그때 떠오르는 인기주, 주도주와 관계없이 사람의 생활과 뗄 수 없는 석유 천연자원 제약...

  • 시간선택제 공무원

    주 15~35시간을 일하는 정규직 공무원이다. 오전·오후·야간·격일제 등 다양한 형...

  • 소둔[燒鈍, annealing]

    열처리를 통해 냉간압연 조직을 부드럽게 바꾸는 공정. '풀림처리'라고도 한다. 가열로...

  • 실버버튼[Silver Button]

    유튜브 본사가 구독자 수 10만 이상 채널에게 주는 상. 유튜브 시장에선 유력채널의 시작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