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단기무역신용

 

수입업자가 물품을 인수한 후 일정 기간이 지난 다음에 대금을 결제하는 일종의 외상거래를 말한다. 단기무역신용은 기한부신용장(유산스 LC)방식과 무신용장인도인수(DA)방식의 2가지 종류가 있다. 기한부신용장방식은 수입업자의 거래은행이 신용장을 발급하여 수입대금의 지급을 보증하고 있는 데 반해 DA방식은 은행이 대금지급을 보증하는 신용장이 발급되지 않고 수출업자가 수입업자에게 직접 신용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DA방식이 기한부신용장 방식보다 수출업자의 대금회수 위험부담이 더 크다. 무역신용은 대부분 신용공여기간이 짧은 것들이어서 대금상환기일이 단기일 내에 돌아오므로 대외지급자금이 일시에 집중될 우려가 있다. 현재 단기무역신용공여기간은 통상 90일로 되어 있으며, 원유는 120일로 되어 있다.

  • 달빛내륙철도

    광주와 대구를 1시간 대로 연결하는 철도 사업. 문재인 정부의 공약 사업으로 2021년 6...

  • 데이터 댐

    정부가 2020년 7월 14일 발표한 정책인 ‘한국판 뉴딜’의 10대 대표과제 중 하나. ...

  • 다이렉트 메시지[direct mesage]

    특정 이용자에게 비밀 글을 남기는 등 개인적인 이야기를 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기능이다. ...

  • 다크 팩토리[Dark Factory, Lights-Out Factory]

    인공지능(AI), 로봇, 사물인터넷(IoT) 등으로 완전 자동화되어 인간의 개입 없이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