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기능팀 전략
[cross-functional team]일반적으로 대기업에서는 연구개발, 생산, 마케팅, 판매의 각부문이 독립적으로 기능해 왔다. 그동안 기업이 기능적인 종적라인을 따라 성장해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고객과의 거리가 벌어지는 사태가 발생했다. 특히 연구개발의 경우 고객과 상관없이 ‘기술지상주의’로 흐르는 경향이 나타났다. R&D 부문만 고립된 구조는 성공적인 상품화로 연결될 수 없다는 게 그동안 여러 사례에서 입증됐다.
상품화 역량이 강한 우량기업들을 보면 마케팅, 영업, 애프터 서비스, 제조, R&D 부문의 유기적 관계 강화에 주력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것이 바로 다기능팀(cross-functional team) 전략이다. 조직 자체를 통합하거나 특정 프로젝트별로 다기능팀을 구성, 지휘체계를 통일하는 게 요즘 전세계 기업의 표준 관행으로 정착됐다. 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신속히 만드는 신제품혁신에는 이런 조직이 가장 큰 효율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동전 없는 사회[coinless society]
일상 경제생활에서 동전의 사용을 줄이고 거스름 돈을 가상계좌나 선불카드, 카드 포인트 등으...
-
단일광자검출소자[single photon avalanche diode, SPAD]
빛의 최소 단위인 단일광자를 검출할 수 있는 초고감도 광학센서. 양자통신 및 양자컴...
-
대안 펀드
주식이나 채권을 투자대상으로 삼지 않고 부동산이나 선박, 금, 원자재, 파생상품 등에 투자...
-
대상포진[herpes zoster]
몸에 띠 모양으로 발진과 물집이 일어나는 질환으로 가려움증, 통증 등을 동반한다. 수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