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단시간근로자

 

1주간의 소정근로시간이 당해 사업장의 동종 업무에 종사하는 상용근로자의 1주간의 소정근로시간에 비하여 짧은 근로자를 말한다. 주 소정근로시간이 40시간 미만으로, 그해 해당 사업장의 통상 근로자의 주 소정근로시간에 비해 짧은 근로자이다.

단시간 노동자는 통상노동자(full-time노동자)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정규직, 계약직, 일용직 등의 고용형태와는 무관하며, 1주에 노동을 하기로 정한 시간이 해당 사업장의 통상 노동자에 비해 짧은 노동자를 말한다.

1주일의 소정근로일(주5일~6일)을 근무 시 유급휴일로서 주휴를 부여하여야 하며, 1년 이상 근로 시 연차 및 퇴직금이 발생한다.

  • 딜리버리히어로[Delivery Hero]

    온라인으로 음식 배달 서비스를 운영하는 독일 기업. 유럽과 중동, 아시아 등에서 사업 중이...

  •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세포 핵속의 염색체가 갖고 있는 30억 개의 염기서열중 개인의 편차를 나타내는 한 개 또는...

  • 다우존스 뉴스[Dow Jones news retrieval]

    투자정보와 MCI 전자우편을 포함하는 온라인 정보 서비스. 다음과 같은 서비스에 기초한 많...

  • 대외경제협력기금[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 EDCF]

    한국이 개도국들의 산업발전과 경제안정을 지원하고 이들 국가와 경제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