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조류 인플루엔자

[Avian Influenza, AI]

닭, 칠면조, 야생조류 등 여러 종류의 조류가 감염되는 전염성 호흡기 질환이다. 주로 닭과 칠면조에 피해를 주는 급성 바이러스성 전염병으로 오리는 감염되더라도 임상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1997년부터 유행했으며 국내에서는 2003년부터 나타났다.

원인균은 저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LPAI)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로 나뉜다.
저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는 조류에만 경미한 질병을 유발하지만 드물게 사람에게 감염될 수 있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는 국내에서는 제1종 가축 전염병으로 분류되어 있다.

임상증상으로는 호흡기증상, 설사, 산란율의 급격한 감소, 머리부위의 청색증 발현 등 다양하다. 폐사율은 0∼100%로 광범위하고 산란율도 40%∼50% 저하된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는 사람으로 바이러스가 전염되기도 한다. HPAI의 가장 잘 알려진 아형은 H5N1이다.

  • 자주개발률

    우리나라 정부나 민간기업이 국내외에서 직접 개발, 확보한 석유·가스 생산량을 국내 소비량으...

  • 정부 간 거래[government to government, G2G]

    양국 정부가 계약 주체로서 계약의 체결 및 이행, 사후관리 등을 보증한다.

  • 증빙소득

    국세청 등 공공 기관에서 발급하거나 객관성이 있는 자료로 입증한 근로소득, 사업소득, 연금...

  • 집합투자업

    펀드를 설정하고 2인 이상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은 뒤 이 자금을 운용하여 수익을 나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