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재산세

 

재산세는 건축물ㆍ선박 및 항공기의 소유에 대하여 그 소유자에게 부과하는 시ㆍ군세(또는 구세)를 말한다. 이전에는 토지에 대해서도 재산세가 부과되었으나 1990년부터 종합토지세가 신설됨으로써 토지분 재산세는 폐지되었다. 과세표준은 재산의 시가표준액으로 한다. 그리고 재산세의 표준세율은 다음과 같으며 그 세율은 표준세율의 50% 범위안에서 조례로써 가감조정할 수 있다. 주택에 대하여는 0.7~7%까지의 초과누진세율을 적용하고, 과밀억제권역에서 공장을 신설하거나 증설하는 경우에는 그 재산에 대하여는 최초의 과세기준일로부터 5년간 0.3%(기타 건축물 세율)의 5배의 세율(1.5%)을 적용한다.

  • 주가재료

    주가재료란 주가를 움직이게 하는 구체적인 사건과 정보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주가재료는 구체...

  • 조혈모세포

    혈액을 구성하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을 만들어 내는 줄기세포. 골수, ?Х曠? 제대혈...

  • 직권상정

    국회에서 법안은 통상 소관 상임위원회에서 심의를 마친뒤 법제사법위원회를 거쳐 본회의 의결 ...

  • 전방연쇄효과[forward linkage effect]

    어떤 한 산업의 발전이 다른 산업에 끼치는 경제적 효과를 말한다. 전방연쇄효과는 한 산업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