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노동생산성

[labor productivity]

일정량의 노동을 들여 얻을 수 있는 생산량을 말한다. 근로자 1인 혹은 시간을 기준으로 삼는다. 노동생산성이 좋아지면 기업은 같은 노동력을 투입하고도 더 많은 생산물을 만들 수 있다. 이 경우 제품 가격을 올리지 않아도 기업의 이윤이 늘어난다. 생산에 대한 노동의 기여도, 생산효율, 기술수준 등을 가늠케 한다.

따라서 생산성은 한 나라의 국제경쟁력을 비교하는 데 중요한 잣대가 되며 성과배분의 기준이 되기도 한다. 노동생산을 재보는 지수로는 크게 노동투입량을 지수화한 것을 분모로, 통계청이 작성해 발표하는 산업생산지수를 분자로 해 산출하는 물적 노동, 생산성지수와 분모는 똑같이 하되 분자로 한국은행이 집계하는 불변 GDP(국내총생산) 지수를쓰는 부가가치 노동생산성 등 두 가지로 나뉜다.

노동생산성의 추이에 관심이 모아지는 것은 이처럼 우리나라 경제의 여러 요인을 집약적으로 분석해 볼 수 있다는 점 이외에 노사간임금협상의 한 근거자료로도 활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 농지 및 산지 전용부담금

    농지에 공단을 조성하는 등 농지나 산림지를 다른 목적으로 전용할 때 부과하는 것이다. 19...

  • 뉴럴링크[Neuralink]

    뉴럴링크(Neuralink)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가 2016년에 설립한 미국의 ...

  • 내부통제[internal control]

    효율성을 촉진시키고 정책수행을 확신시키며 자산을 보호하고 부정이나 오류를 적발하기 위해 고...

  • 내국민대우[National Treatment, NT]

    외국산 물품이라도 일단 수입이 완료된 후에는 자국산 물품과 동등한 대우를 하여야 한다는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