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담금
부담금관리기본법에 따라 공익사업을 목적으로 부과된 조세 외의 금전 의무.
정부가 각종 공익사업에 필요한 재원을 조달하기 위해 개발사업이나 공공서비스 제공의 대가로 기업 및 개인에게 부과하는
준조세다.
특정 공익사업을 목적으로 부과하는 조세 외의 금전 납부 의무로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의 수입판매부과금 △신용보증기금 출연금 △장애인 고용부담금 △전력산업기반기금 부담금 등 항목만 94개에 달한다(2015년말 현재).
준조세 성격인 부담금 징수가 늘어나면 투자 활성화는 물론 내수 소비 선순환구조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관련어
- 참조어준조세
-
바이오 리팩토링[Bio-refactoring]
기술은 기존 미생물의 특성이 아닌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미생물을 재설계하는 기술이다...
-
복수국적
한사람이 2개국 이상의 국적을 동시에 보유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이를 금지해...
-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DDoS attack]
인터넷 상에서 연결된 여러 대의 컴퓨터 시스템으로 하나의 표적 시스템에 동시에 다량 접속(...
-
비공식적 리더[informal leader]
집단에 대한 지배력이나 권위가 지위·업무·서열 등 공식조직의 명령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