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제네릭 의약품

[generic medicine]

오리지널(original) 화학 합성의약품에 대비되는 말로 과거에는 '카피약' 또는 '복제약'이라고 도 불렀다.

오리지널 약품의 특허가 만료됐거나 특허가 만료되기 전이라도 물질특허를 개량하거나 제형을 바꾸는 등 모방하여 만든 의약품을 말한다.

`비아그라’와 ‘팔팔정 50mg’을 예로 들어보자. 이둘은 성분도 같고 제조법·효능효과도 동등한데 약품이름과 제조회사명만 다르다. 비아그라는 ‘오리지널의약품’(이하 오리지널)이고 팔팔정40mg는 ‘제네릭의약품'이다.

팔팔정 뿐 아니라 식약청에서 허가한 비아그라 제네릭은 현재 누리그라정, 이디포스정, 해피그라정 등 70여개 제품에 이른다.

한편 가장 먼저 만들어진 제품은 ‘퍼스트제네릭’이라고 불린다.

  • 주주의 지위

    주주는 출자한 지분만큼 회사에 대해 의결권 배당청구권 등을 갖는다. 이는 사업 실패 위험을...

  • 제로페이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 결제 수수료를 낮추고 소득공제 혜택을 준다며 도입을 추...

  • 전대차관[tied loan]

    전대차관이란 상품을 수입하려는 수입자에게 대출할 것을 조건으로 수입국의 금융기관에 빌려주는...

  • 자연실업률[natural rate of unemployment]

    경제의 산출량과 고용이 사실상 완전고용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중에서도 지속되는 실업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