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제네릭 의약품

[generic medicine]

오리지널(original) 화학 합성의약품에 대비되는 말로 과거에는 '카피약' 또는 '복제약'이라고 도 불렀다.

오리지널 약품의 특허가 만료됐거나 특허가 만료되기 전이라도 물질특허를 개량하거나 제형을 바꾸는 등 모방하여 만든 의약품을 말한다.

`비아그라’와 ‘팔팔정 50mg’을 예로 들어보자. 이둘은 성분도 같고 제조법·효능효과도 동등한데 약품이름과 제조회사명만 다르다. 비아그라는 ‘오리지널의약품’(이하 오리지널)이고 팔팔정40mg는 ‘제네릭의약품'이다.

팔팔정 뿐 아니라 식약청에서 허가한 비아그라 제네릭은 현재 누리그라정, 이디포스정, 해피그라정 등 70여개 제품에 이른다.

한편 가장 먼저 만들어진 제품은 ‘퍼스트제네릭’이라고 불린다.

  •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는 기업이 6년간 감사인을 자율적으로 선임한 후, 다음 3년은 증권선물...

  • 자본비용[cost of capital]

    기업이 조달, 운용하고 있는 자본과 관련해서 부담하게 되는 비용으로 조달원천에서 보면 자기...

  • 제로섬게임[zero-sum game]

    승자의 득점과 패자의 실점을 더하면 항상 제로(0)가 되는 게임을 뜻한다. 즉 승자의 이익...

  • 자본이득과세[capital gains tax]

    자본자산의 매각에서 발생하는 이득과 손실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 자본자산이란 1년 이상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