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제네릭 의약품

[generic medicine]

오리지널(original) 화학 합성의약품에 대비되는 말로 과거에는 '카피약' 또는 '복제약'이라고 도 불렀다.

오리지널 약품의 특허가 만료됐거나 특허가 만료되기 전이라도 물질특허를 개량하거나 제형을 바꾸는 등 모방하여 만든 의약품을 말한다.

`비아그라’와 ‘팔팔정 50mg’을 예로 들어보자. 이둘은 성분도 같고 제조법·효능효과도 동등한데 약품이름과 제조회사명만 다르다. 비아그라는 ‘오리지널의약품’(이하 오리지널)이고 팔팔정40mg는 ‘제네릭의약품'이다.

팔팔정 뿐 아니라 식약청에서 허가한 비아그라 제네릭은 현재 누리그라정, 이디포스정, 해피그라정 등 70여개 제품에 이른다.

한편 가장 먼저 만들어진 제품은 ‘퍼스트제네릭’이라고 불린다.

  • 직류[direct current, DC]

    일정하게 한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를 뜻한다. 시간에 따라 전류 크기와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

  • 자동요금징수시스템(철도)[automatic fare collection system, AFC system]

    승차권 구입 및 개집표까지의 모든 업무 및 각종 통계업무를 정보시스템으로 처리하기 위한 설...

  • 중립금리[neutral interest rate, natural rate]

    경제가 과열(인플레이션)되거나 침체(디플레이션)되지 않고 잠재성장률을 달성할 수 있는 이론...

  • 제3자 배정

    특별법이나 발행회사의 정관규정에 따라 특정의 제3자에게 신주인수권을 부여하는 경우, 정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