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사회적·경제적 약자인 상가건물 임차인의 권리를 보호하고, 과도한 임대료 인상을 차단하기위해 제정된 법. 2002년 11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임대인의 해지권 남용, 임대차 기간의 불안정성, 월세 산정시 고율의 이자율 적용 문제, 임대보증금 미반환 문제 등으로 인한 임차인의 피해를 막는 것이 주요 목적으로 영업용 건물의 임대차로서 보증금이 일정금액 이하인 임대차계약에 적용되며, 전체 상가건물 임차인의 90%를 보호할 수 있는 수준이다.

  • 상승가능금리[stress rate]

    고정금리가 아닌 변동금리 주택대출 한도를 정할 때 금리 인상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추가로 ...

  • 산업공동화

    제조업의 해외 현지생산 등 해외직접투자가 진전되면서 국내산업이 쇠퇴해가는 현상을 말한다.생...

  • 소득정책[incomes policy]

    총수요를 줄이지 않고도 물가상승을 억제해 보려는 각종 정책을 일반적으로 소득정책이라고 한다...

  • 사내하도급

    하청업체가 원청업체내에서 생산공정을 책임지고 수행하는 것으로 "사내하청"이라고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