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교토협약

[Kyoto Convention]

관세절차 간소화 및 조화에 관한 국제협약(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Simplification and Harmonization of Customs Procedures)이 정식명칭이다.

관세 절차의 간소화 및 조화를 통해 국제 무역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고, 무역의 예측 가능성과 투명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토협약에는 관세행정절차를 규정하는 부속서들이 많이 있는데, 이들 부속서 가운데 어느 부속서를 수락할 것인지는 회원국 스스로 결정한다.

아직 부속서 전체가 발효되지는 않았으며, 협약의 관리는 세계관세기구(WCO)에서 담당한다.

협약은 1973년 채택되었으며, 현재 200개 이상의 국가와 지역이 당사국으로 참여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이 협약 중 원산지규정 등에 가입하였다.

  • 규범경제학[normative economics]

    어떤 경제 상태가 바람직한가를 탐구 대상으로 하며, 주관적 가치판단이 개입됨.

  • 가계총처분가능소득[: Personal Gross Disposable Incom, PGDI]

    가계 구매력을 보여주는 지표. 가계소득에서 세금과 연금 등을 빼고 소비 및 저축으로 처분할...

  • 긴급사용승인

    감염병 대유행 상황에서 긴급하게 필요한 약을 대상으로 정부가 공식 허가를 면제, 한시적으로...

  • 그린 마일리지[Green mileage]

    주행거리에 따라 보험료를 차등 적용하는 제도. 약정한 주행거리 이내이면 일반 자동차 보험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