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직접지불제

[direct payment]

농산물 시장개방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농가에 직접 돈을 주는 것을 말한다. 정부가 직접 농가에 소득보조금을 주는 것이 직접지불제이기 때문에 그 종류와 형태는 아주 다양하다. 논농업직불제를 비롯해 친환경직불제, 경영이양직불제, 쌀 소득보전 직불제가 바로 이름 그대로의 직불제이다. 또한 생산조정제를 비롯해서 농업인자녀 학자금 지원, 농작물 재해보험 등도 그 성격상 직접지불제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직접지불제는 정부가 예산(국고 보조)을 농업기반정비, 유통구조개선 등에 투입해도 그것이 농가의 직접적인 소득증대로 직결되지 않는 문제점을 보완하고, 1995년 세계무역기구(WTO) 출범 이후 생산이나 가격과 연계되는 보조금을 지급하지 못하거나 줄이도록 규정한 것에 대응하는 농가소득 안정장치로 도입됐다. 우리나라는 1998년 경영이양직불제를 시작으로 99년에는 친환경직불제를 시행하고 2001년 논농업 직불제를 도입했다. 이듬해인 2002년 쌀 소득보전 직불제와 생산조정제를 추가했다.

  • 전문연구요원

    이공계 석사이상의 학위를 취득한 사람이 병무청장이 선정한 지정업체에서 3년간 일함으로써 군...

  • 정보시스템의 효율적 도입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ITA법]

    공공부문 정보화 투자 효율 및 성과제고를 위해 정보통신부가 제정하고 2006년 7월부터 시...

  • 주세개편안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은 2019년 6월5일 맥주와 막걸리에 대환 과세방식을 2020년부터 종...

  • 중성자 핵변환 도핑 반도체[neutron transmutation-doped semiconductor, NTD 반도체(NTD semiconductor)]

    부도체인 고순도의 실리콘(Si) 단결정에 중성자를 쪼여 실리콘 원자핵 중 극미량을 인(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