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경제자유지수

[Index of Economic Freedom, IEF]

미국 싱크탱크 헤리티지재단과 월스트리트저널이 세계각국의 경제활동의 자유를 체계적으로 수치화 한 지수로 1995년을 시작으로 매년 초에 발표하고 있다. 헤리티지재단에 따르면 경제적자유지수가 높은 나라가 지수가 낮은 나라보다 장기적으로 고도의 경제성장을 이룩할 수 있으며 보다 번성한다고 한다.

이 지수는 각국의 재정상태, 정부의 금융규제정책, 무역 정책 등 10개 분야를 최고 1.0점, 최하 5.0점으로 평가, 종합하여 산정한다. 점수가 높을수록 경제적 자유가 높음을 나타낸다.

2019년 한국의 경제자유지수는 100점 만점에 72.3점으로 지난해보다 1.5점 하락했다. 평가 대상 180개국 중 29위다. 한국의 경제자유지수 순위는 2016년 27위에서 2017년 23위로 높아졌지만 이후 2018년 27위, 2019년 29위로 2년 연속 하락했다. 평가항목은 재산권, 정부 청렴도, 사법적 효과, 정부 지출, 세 부담, 재정 건전성, 비즈니스 자유, 노동시장 자유 등 12개다.


20190년 경제자유지수 1위는 홍콩, 2위는 싱가포르로 두 나라 모두 25년째 최선두권을 유지했다. 미국은 12위, 일본은 30위, 중국은 100위, 북한은 180위였다. 북한은 이 재단이 경제자유지수를 작성하기 시작한 1995년 이후 25년 연속 최하위를 벗어나지 못했다.

  • 기술도입계약신고

    기업이나 개인이 외국에서 상표권 등 공업소유권이나 기술을 도입했을 때, 수입대리점계약이나 ...

  • 간접세[indirect tax]

    ① 세금을 납부하는 사람과 실제로 부담하는 사람이 다른 세금. 부가가치세, 주세, 관세 등...

  • 금융안정보고서

    한국은행에서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잠재적 위험요인을 파악, 금융안정에 토론 활성화, 금융안...

  • 기대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이 장기간 지속되면 경제주체들은 앞으로도 물가가 계속 상승할 것이라는 예상을 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