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택시총량제

 

택시총량제는 택시 공급 과잉을 막고자 지역별로 택시 대수를 제한하는 제도다.

이는 택시 업계의 경영 악화와 택시 기사의 수입 감소를 예방하고, 택시 서비스 품질을 높이기 위해 2005년 처음 도입됐으며, 2014년 '택시운송사업의 발전에 관한 법률'이 제정돼 법적 기반을 갖췄다.

국토교통부는 5년 주기로 택시총량제를 시행하며, 지방자치단체는 국토부의 지침에 의거해 지역별 택시총량을 산출한다.

이 제도는 지역별 인구 수, 택시 운행 거리, 택시 요금 등을 감안해 택시총량을 정하며, 택시의 공급과 수요 간 균형을 꾀해 택시 업계의 안정과 성장을 지원한다.

  • 퇴직연금

    사용자인 기업이 매월 일정액의 연금을 특정 금융기관에 맡긴 뒤 운영성과를 토대로 퇴직 후 ...

  • 특허괴물[patent troll]

    제조, 서비스 등의 생산 활동은 하지 않고 특허를 매입한 뒤 특허를 침해한 기업을 상대로...

  • 특별자산펀드

    펀드재산의 50% 이상을 예술품, 선박, 지하철, 유전, 광산, 지식재산권, 탄소배출권 등...

  • 타이거지수[Tracking Indices for the Global Economic Recovery, TIGER]

    한국을 포함한 주요20국(G20)의 경기동향을 종합한 것으로 세계경제 회복 정도를 파악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