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수익증권 환매

 

환매란 투자신탁회사에 맡긴 투자자의 돈을 되돌려 주는 것을 말한다. 투신사는 투자자의 돈을 끌어 모아 펀드를 설정한다. 투신사들은 이렇게 조성된 자금을 주식형이나 공·사채형 수익증권에 넣어 굴린다. 투자자들이 돈을 돌려달라고 하면 이를 다시(환) 사들여야(매) 한다. 이게 환매다. 투자자들은 수익을 많이 냈을 때나 그 반대의 경우에도 환매를 신청하곤 한다.

다만 환매수수료를 내는 기간중에는 환매가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주식형펀드의 경우 통상 가입한 지 6개월이 지나면 환매수수료를 내지 않아도 된다. 환매수수료를 내지 않아도 되는 때를 "만기"로 생각하는 투자자들이 많다. 그러나 펀드에는 따로 만기가 없는 게 일반적이다. 가입자들이 수시로 바뀌기 때문이다.

  • 선물거래[futures trading]

    장래의 일정 시점에 수량, 규격, 품질 등의 표준화되어 있는 특정 대상물을 계약체결시에 정...

  • 상속세와 증여세

    배우자나 자녀, 손자 등에게 재산을 줄 때 국가에 납부하는 세금. 살아있을 때 주면 증여세...

  • 수직적 분업[vertical international specialization]

    수직적 국제분업이라고도 한다. 선진공업국과 개발도상국 간에, 선진국이 자본집약적인 공업제품...

  • 선정산 대출

    선정산 대출은 전자상거래 플랫폼에 입점한 판매자가 판매 대금을 먼저 은행으로부터 대출 형태...